[고전문학] 원가:신충
2013-09-26 11:22
4,238
0
0
본문
물흿 자시
가살 안달 이우리 디매
너 엇뎨 니져 이신
울웠던 나치 겨샤온대
달그림제 녯 모샛
녈 물결 애와티닷
즛사 바라나
누리도 아쳐론 뎨여
뜰의 잣나무가
가을에도 시들어 떨어지지 아니하듯이
너를 어찌 잊겠느냐 하시던
우러르던 님이시여
달 그림자가 옛 연못의
이는 물결을 원망하듯이
님의 얼굴 바라보니
세상이 나를 버렸음을 알겠네
물흿 자시
가살 안달 이우리 디매
너 엇뎨 니져 이신
울웠던 나치 겨샤온대
달그림제 녯 모샛
녈 물결 애와티닷
즛사 바라나
누리도 아쳐론 뎨여
秋察尸不冬爾屋支墮米
汝於多支行齊敎因隱
仰頓隱面矣改衣賜乎隱冬矣也
月羅理影支古理因淵之叱
行尸浪阿叱沙矣以支如支
皃史沙叱望阿乃
世理都之叱逸烏隱苐也
後句亡
「뜰의 잣[柏]이 質 좋은 잣이
가을에 안 이울어지매 가을에 말라 떨어지지 아니하매,
너를 어찌 잊어?」하신, 너를 重히 여겨 가겠다 하신 것과는 달리
우럴던 낯이 계시온데, 낯이 변해 버리신 겨울에여.
달 그림자가 옛 못[淵]의 달이 그림자 내린 연못 갓
가는 물결 원망하듯이, 지나가는 물결에 대한 모래로다
얼굴사 바라보나, 모습이야 바라보지만
누리도 싫은지고! 세상 모든 것 여희여 버린 處地여.
- 양주동 해독 - 김완진 해독 [이 게시물은 윤님에 의해 2013-10-07 11:05:18 아온에서 이동 됨]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
[마루밑다락방의 서고] 초승에 뜨는 달은 ‘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 ‘초생(初生)’과 ‘달’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마치 ‘폐렴(肺炎), 가난(艱難)’ 등과도 같은 경우이다.2015-05-25
-
[인문학] 아일랜드... 예이츠의 고향. 가장 늦게 도달한 기독교(카톨릭)에 가장 심취하였고 중세 수도원 운동이 크게 부흥하여 역으로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곳... 중국보다 성리학에 더 미쳤던 한국..자본주의의 실험재료가 되어, 자국의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은 굶어죽는데도 영국으로 식량을 수출해야 했던 나라. 맬더스 인구론의 근거가 됐었고..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분단의 아픔을 격고 있는 나라.. 참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입니다.2015-04-16
-
[인문학] 러셀... 현대의 소크라테스...2015-04-15
-
[인문학]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대가를 치른 후였다.-------------전이겠지요.2015-04-09
-
[인문학] 신영복 교수... 진정 겸손한 글을 쓰는 분이지요.소외 당한 자, 시대의 약자들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이고. 그들을 대변 또는 위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지요.2015-04-08
-
[인문학] 좋군요....2015-04-07
-
[인문학] 과학이 본연의 임무대로 오류들을 이리저리 쳐내가다 보니 알맹이가 하나도 안 남은 형국이되었습니다. 그러니 과학 때문에 목적을 상실했다는 말이 나왔고, 도구에 불과한 과학이 미움을 받는 묘한 지경이 되었습니다만... 그게 과학의 잘못은 아니지요. 만들어진 요리가 맛이 없는게 잘드는 칼의 잘못입니까? 재료가 형편없었던 까닭이지요.2015-04-05
-
[인문학] 물론 ‘목적 없는 세계’라는 아이디어가 ‘신앙의 부재’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겠지만, 어떤 목적으로 움직이는지 회의를 주는 세계는 신앙심을 약화시키는 무신론을 철저히 방조하고 있음엔 틀림없는 것 같다. -------------음... 아직 옛날 습관이 남아있는 어투이군요...전지전능의 무한자는 인간이 알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즉 불가지의 존재이지요. 이 불가지의 존재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도 당연히 불가지입니다. 과학은 이 불가지의 세계를 다루지 않습니다. 그랫다가는 오컴에게 면도날로 난도질 당합니다. ㅋㅋㅋ2015-04-0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