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심리학] 모순된 심리
본문
커민스라는 심리학자가 재미있는 실험을 했다.
참여자들에게 절반은 기숙사 사감의 관점에서 자기가 관리하는 학생들을 감시하게 했고,
나머지 절반에게는 학생의 관점에서 사감이 저지를 수 있는 위반 사항을 감시하게 했다.
결과는... 사감 역할을 하는 사람은 65%가 학생들의 잠재적 규칙 위반 사례를 살펴본 반면, 학생 역할을 한 사람들은 20%만이 사감을 감시했다.
감시하라는 임무를 주지 않았어도 사감 역할을 하는 사람들은 규칙 위반자를 찾았을 것이고
학생 역할을 하는 사람들은 위반하고 들키지 않는 방법을 찾았을 것이다.
이 실험의 결과는, 사람은 주어진 환경에 따라 동원하는 심리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행을 하면 자기를 발견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환경이 바뀜에 따라, 지금까지는 있는 지도 몰랐던 심리가 발현되어 생각의 변화가 온다는 말이다.
우리 마음을 이루는 심리는 굉장히 많으나 상당수는 잠복하고 있어서 있는 지도 모른다.
어떤 특정 심리가 필요한 상황을 만났을 때 자동적으로 발현이 되어, 자기도 몰랐던 자기를 발견하게되는 일이 태반이다.
이렇게 발견한 자기가 꼭 좋기만 한 것은 아니다...
평소에는 파렴치하다고 생각했던 행동을 하는 자기를 보게되거나, 거짓말하는 자기를 보게도 되고
조금 전과 전혀 다른 생각을 태연히 하고 있는 자기를 보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우리의 심리 형태는 긴 진화의 역사에서 만났던 문제들이 얼마나 다양했으며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 조상들이 얼마나 고심했었는가를 보여준다.
심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간의 도구이니 말이다.
각각의 다른 상황 속에서, 어찌하면 자원을 많이 확보하고, 좋은 짝을 만나, 많은 새끼를 낳아 키울 것인가 하는 것이 이런한 심리들을 낳은 동인이다.
지위가 높고 확보한 자원이 많을 때는 지켜야하고, 지위가 낮고 자원이 부족할 때는 뺐거나 얻어야 하므로 동일한 심리로 대처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또한 지위나 자원 확보 상태가 고정된, 영속적인 것이 아니라, 계속 변화하는 역동적인 것인지라 한 가지만 가지고 있어도 안된다.
지금 지위가 낮다면 낮은 지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심리가 필요하지만, 나중에 지위가 높아졌을 때를 대비해 그 때 사용할 수 있는 심리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때가서 뇌 배선 바꾸고 프로그램 깔고 그럴 수는 없지 않은가?
물론 지금 사용할 수는 없으므로 의식에 나타나지 않고 잠재하고 있을 것이다.
본인은 있는지도 모를 수 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과도 일맥 상통하는 말이다.
올챙잇적 시절 생각 못한다고 욕먹기도 하고, 초심을 유지하기 힘든 이유이기도 하다.
인간의 심리가 상호 모순적인 게 많다는 것은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일인지도 모른다.
결론)
살다보면 무수한 모순들과 만날 것이다.
지키려는 자와 뺐으려는자 : 하나는 지켜야 살고, 하나는 뺏어야 살고..
씨를 뿌려야 하는 남자와 키워야 하는 여자
여럿을 키워야 하는 부모와 일단 내가 중요한 자식
그외 소소한 거의 모든 일에서 모순은 잠복헤 있으며 매일 모순과 만나고 싸우며 살아가는 게 인생이다.
이 모순들이 갈등을 만들어 내고 갈등은 위기를 부추킨다.
괴롭고, 힘들고, 슬프고.... 인간의 모든 부정적인 감정의 시작은 모순인 셈이다.
따라서 행복해지고 싶으면 모순을 잘 다루어야 한다.
어떻게 하는 것이 모순을 잘다루는 것일까?
모순은 심리의 충돌이다.
그런데 이 심리라는 것은 석기 시대에 완성된 문제 해결을 위한 마음의 도구이니
현대의 환경에 딱맞게 작동할 리가 없다.
그러므로 모순이 발생하면 그대로 마음을 내맡겨서 갈등으로 치달아 위기의 벼랑을 만나지 말고
일단 한 걸음 떨어져 곰곰히 생각해 보기 바란다.
내가 지금 철지난 석기 시대 심리로 현대의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있듯이 상대 또한 마찬가지이다.
서로 효율이 떨어지는 도구를 사용하면서 상대 탓만 하고 있는 것이다.
모순은 상대를 꺾어서는 해결되지 않는다.
상대가 쉽게 꺽여주지도 않을 뿐더러 설령 꺽었다 해도 이미 행복은 물건너 간다.
그러므로 대결이 아닌 통합이 중요하다.
2차원의 모순이 3차원에서 통합되는 것처럼
차원을 올리건 내리건 그 모순이 통합되는 관점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 중용이다.
중용... 음...이거 말처럼 쉬운게 아니다.
그래서 사는게 어려운 것이다.
어렵다고 포기할 수도 없고...
열심히 모순과 싸워라... 상대와 싸우지 말고...
그래서 그 모순이 통합되는 순간과 만나라.
그게 깨달음이다.
그리고 깨달은 나, 그게 진정한 나다.
: 석문의 거창한 깨달음을 말하는게 아니다... 그저 일상의 소소한 깨달음일 뿐이다.
-
[마루밑다락방의 서고] 초승에 뜨는 달은 ‘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 ‘초생(初生)’과 ‘달’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마치 ‘폐렴(肺炎), 가난(艱難)’ 등과도 같은 경우이다.2015-05-25
-
[인문학] 아일랜드... 예이츠의 고향. 가장 늦게 도달한 기독교(카톨릭)에 가장 심취하였고 중세 수도원 운동이 크게 부흥하여 역으로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곳... 중국보다 성리학에 더 미쳤던 한국..자본주의의 실험재료가 되어, 자국의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은 굶어죽는데도 영국으로 식량을 수출해야 했던 나라. 맬더스 인구론의 근거가 됐었고..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분단의 아픔을 격고 있는 나라.. 참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입니다.2015-04-16
-
[인문학] 러셀... 현대의 소크라테스...2015-04-15
-
[인문학]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대가를 치른 후였다.-------------전이겠지요.2015-04-09
-
[인문학] 신영복 교수... 진정 겸손한 글을 쓰는 분이지요.소외 당한 자, 시대의 약자들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이고. 그들을 대변 또는 위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지요.2015-04-08
-
[인문학] 좋군요....2015-04-07
-
[인문학] 과학이 본연의 임무대로 오류들을 이리저리 쳐내가다 보니 알맹이가 하나도 안 남은 형국이되었습니다. 그러니 과학 때문에 목적을 상실했다는 말이 나왔고, 도구에 불과한 과학이 미움을 받는 묘한 지경이 되었습니다만... 그게 과학의 잘못은 아니지요. 만들어진 요리가 맛이 없는게 잘드는 칼의 잘못입니까? 재료가 형편없었던 까닭이지요.2015-04-05
-
[인문학] 물론 ‘목적 없는 세계’라는 아이디어가 ‘신앙의 부재’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겠지만, 어떤 목적으로 움직이는지 회의를 주는 세계는 신앙심을 약화시키는 무신론을 철저히 방조하고 있음엔 틀림없는 것 같다. -------------음... 아직 옛날 습관이 남아있는 어투이군요...전지전능의 무한자는 인간이 알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즉 불가지의 존재이지요. 이 불가지의 존재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도 당연히 불가지입니다. 과학은 이 불가지의 세계를 다루지 않습니다. 그랫다가는 오컴에게 면도날로 난도질 당합니다. ㅋㅋㅋ2015-04-05
댓글목록1
딸기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