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 제 23 대 안원왕 > 한국사

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고구려사] 고구려 : 제 23 대 안원왕

본문

안원왕

고구려 쇠퇴기의 시작이다.

이름은 보연, 체구가 장대하고 도량이 넓었다 한다

안장왕이 로맨티스트답지 않게 후사가 없, 531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구라 책 일본 서기를 믿는다면 쿠데타로 정권을 탈취한 의심이 들기도 하는데...

뭐가 되었던 정정이 불안했던 듯하다.

 

이 양반에 대한 우리 나라의 기록을 요약하면,

남북조와는 전통의 조공 외교를 이어 갔고, 끊임없는 자연 재해에 시달렸으며

재위 3년 째에 아들 평성을 태자로 삼았고, 재위 10년 째에 백제의 침공을 막았으며,

재위 15년 만에 죽었다.

보다시피 치세를 평가하기엔 기록이 심히 빈약하다.

 

이 양반 치세의 어두운 이야기가 일본서기에 전하는데,

구라로 떡칠 된 일본서기에서 그나마 믿을 만하다고 하니 인용을 해보면,

왕은 정부인에게서는 왕자를 얻지 못하고 후궁인 중부인 , 소부인에게서 각각 아들을 하나 씩 얻었는데,

그 중 중부인의 아들 평성을 태자로 삼아 왕위를 물려주려 하였고

이에 소부인 측에서 반발하여, 왕이 병으로 눕자 중부인 측과 전투를 벌였다고 한다.

 

중부인 측의 두목은 추군,소부인 쪽은 세군이었다고 하는데 둘 다 일종의 외척 세력이었던 듯하다.

이 두 세력은 궁문에서 매우 치열하게 맞붙었는데, 추군 측이 승리하였고,

승리한 추군은 마치 불구대천의 원수인 양, 3일간 잔당을 소탕하여 2000여명을 살해하였으며,

그 와중에 병이 악화된 것인지 칼을 맞은 것인지는 모르나 왕도 훙하였다.

추군은 국내성에 정치적 기반을 두고 있던 귀족 불교세력이고, 세군은 평양 지역을 중심으로한 신진 불교세력이었다는 설도 있는데, 

뭐가 되었건 안원왕 시절, 지배층의 분열과 암투가 매우 심하였고, 덕분에 왕권의 권위가 형편없이 떨어졌다는 것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지배층이 이 꼬라지이면  민심 이반은 불보듯 뻔한 것이고, 거기에 자연 재해까지 겹친다면 나라가 엉망되는 것은 순식간이다..

쇠퇴기의 전형적인 모습이 아닐 수 없다.


이 난리를 고 다음 대 왕이 된 양원왕 평성, 그의 치세는 어떠했을까?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 1,339
경험치 119
[레벨 1] - 진행률 60%
가입일
2013-05-11 07:36:22
서명
미입력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