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 2차 여당전쟁 > 한국사

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고구려사] 고구려 : 2차 여당전쟁

본문

2차 여당 전쟁은 한 번의 전쟁이 아니라

당태종 사후부터 연개소문이 죽기 전까지 진행된 수차례의 충돌을 의미한다.

당태종은 수양제에 비해 대 고구려 전과가 상당하였으므로 원정에 대한 미련을 못 버렸으나,

지 아들은 아무래도 애가 비리비리한 지라, 수나라 꼴이 날까 봐 그랬는지 고구려를 치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

그러나 뒤를 이은 당 고종은 애비의 소원을 풀어주려는 효심인지, 아니면 애비를 능가하는 치적을 쌓으려는 허영인지는 몰라도 고구려를 집요하게 괴롭혔다.

양광의 재림이었다.

 

655년에 고구려는 백제, 말갈과 연합해 당의 동맹인 신라를 공격하여 33개 성을 빼앗고 신라의 수도인 금성까지 위협하였다.

김춘추는 당에 죽는다고 비명을 질러대었고,

당은 신라도 구원할 겸해서 소정방을 보내 북쪽에서 고구려를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4년 뒤인 659년에는 설인귀도 실패하였고.

 

당의 공세는 북쪽의 연이은 실패와 달리 남쪽에서는 성공하였다.

소정방이 군사 13만 명을 이끌고 신라와 함께 백제를 침략하여  660년 마침내 백제 멸망시킨 것이다.

아무래도 고구려가 당의 양동작전에 당한 느낌이다.

고구려의 동맹이자 삼국의 한 축인 백제의 멸망은 비리비리한 애, 당 고종을 고무시켰고, 

친 김에 고구려마저 숨통을 끊기 위해, 661년 나당연합군이 평양을 향해 진군하였고별도의 44천 명의 병력이 고구려의 변방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고립 무원의 처지가 돼버린 고구려는 백제의 옛동맹, 왜에 원병을 요청하였고,

왜는 백제의 원수 나당 연합군과 싸우기 위해, 옛 백제 지역의 소유성에 병력을 주둔시켰다.

왜와 백제..참으로 끈끈한 관계라 아니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나당 연합군은 고구려의 남서쪽 국경을 공격하지 못하였고,

거기에 더해  백제 부흥군이 기승을 부리는 바람에 신라군은 다시 남진할 수밖에 없었다.

남쪽에서 한숨 돌린 고구려는서북 변방에 병력을 집결시켜 당나라군을 격퇴하였다.

고구려의 외교가 모처럼 빛을 발휘한 것이다.

 

그러나 당은 그 해 다시 대군으로 수륙 양공 작전을 구사하며 평양성을 향해 진군하였다.

하지만 이번에도 당나라군이 패하자 고종의 입지가 약화되어 일시적인 휴전 상태가 되었다.

일시적인 소강상태를 이용하여 연개소문은 배후의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신라의 북한산성을 공략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지금이라도 신라와 화친하였더라면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고구려가 신라와 싸우는 사이  당나라는 다시 고구려 정벌에 나섰다.

소정방이 10만 대군을 배에 태워 대동강을 타고 올라왔고  글필하력이가 요동으로 쳐들어 온 것이다.

소정방이는 기세등등하게 평양성을 포위하였으나 평양성은 만만한 성이 아니었다.

평양성은 외곽, 외성, 내성 등 3중 구조로 되어 있고 오랜 공성전을 경험한 유서 깊은 성이며, 강한 방어력을 자랑하는 요새였다.

북쪽에서는 한 달여의 공방 끝에 글필하력이 요동방어선을 무력화시킨 후 압록강으로 육박해 들어왔다.

이에 연개소문은 아들 연남생을 보내 이들을 게 하였으나 이 찌질이는 3만여의 사상자를 남기고 패퇴하였다.

고구려의 위기였으나 때 맞춰 중국 서북지역에서 철륵(위구르)이 반란을 일으켰

설인귀가 초기 진압에 실패하는 바람에 요동공략군은 위그르 전선으로 방향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글필하력이가 뒤로 빠져 한숨 돌리기는 했어도 위기가 끝난 것은 아니었고 아직 방효태가 남아있었다.

소정방과 합류하기 위해 압록강 인근에 상륙, 남하한 것으로 추정되는 방효태가 사수까지 전진해 온 것이다.

그러나 방효태의 군은 연개소문이 직접 지휘하는 고구려군에 대패하여 거의 몰살하였고,

그 자신도 13명의 아들 그리고 같이 출전한 온동네 사람들과 더불어 마지막 돌격작전에서 죽어버렸다.

이것이 연개소문을 명장으로 만들고 최악의 역신이라는 오명을 벗게 만든 사수전투이다.

 

글필하력이는 떠나고 방효태는 장렬히 전사하는 바람에 소정방이는 낙동강 오리알이 되었고 식량마저 부족해진 처량한 신세가 되었다.

소정방이는 신라를 향해 비명을 질러대었고, 백제부흥군에 발목이 잡혀, 멀거니 구경만 하고 있던 김유신은

소정방이가 다 죽게 생기자 별수 없이 북진하여, 고구려의 포위를 뚫고 당군을 구원하였다.

김유신은 이 싸움에서 1만여 고구려 병사를 사상시켰다 한다.

소정방이는 뒤도 안돌아보고 퇴각하였고...

 

이 일련의 전쟁에서 고구려와 당나라 양측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고구려는 이 전쟁 기간 동안 국가의 중심지인 수도 평양이 오랫동안 당군에 의해 포위 공격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요동성을 비롯한 방어 라인이 붕괴되는 바람에 주요 곡창지대와 철 생산지가 전쟁터가 되어 버렸고,

청야 전술 말고는 변변한 전술을 쓸 수 없었던 고구려는 거의 초토화되었다.

수양제를 뺨치는 고종의 집착으로 인해, 당 또한 전력 손실, 국력 소모가 상당했는데 결과마저 신통치가 않아

황권의 약화를 초래하였고 그 결과 중소지주층과 손을 잡은 측천무후의 세력이 커졌고

훗날 중국 역사상 전무후무한 여황제가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애비 말 안 듣고 잘되는 자식 없다더니 양광이 꼴이 난 것이다.

그리고 665년 연개소문이 죽었다.

못난이 아들들을 남겨 놓고....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 1,396
경험치 140
[레벨 1] - 진행률 70%
가입일
2013-05-11 07:36:22
서명
미입력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