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 제 21 대 소지 마립간 > 한국사

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신라사] 신라 : 제 21 대 소지 마립간

본문

마립간이라는 칭호를 마지막으로 사용한 왕으로 비처왕이라고도 불리는데
원 발음은 비치로서, 비처로 이두식 표기가 된 것을 다시 불교식으로 고쳐 써서 소지가 되었다 한다.

자비 마립간의 장자로 479년 왕위에 올라
즉위 이듬해에 말갈의 침입을 받았고, 이에 북쪽 변경을 순시하며 방비를 다졌다.
즉위 3년째에 고구려 말갈 연합군에게 일곱성을 빼앗기며 파죽지세로 밀렸으나 백제, 가야와 연합군을 결성해 겨우 막아낼 수 있었다. 나제동맹 덕분에 산 셈이다.
이듬해엔 전통의 웬수 왜구와 싸웠다.
6년에 고구려가 다시 쳐들어 왔으나 물오른 나제동맹이 위력을 발휘하여 고구려군을 박살낼 수 있었다.
8년에는 삼년 산성, 굴산 산성 등을 수리하였고, 지겨운 왜구 놈들을 격퇴했다.
이듬해에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신궁을 건설했다.
11년에 고구려의 침입을 또다시 받았고 성을 빼앗겼다
12년에는 비라성을 다시 쌓았으며 시장을 만들어 물자를 유통시켰다.
15년에는 백제의 요청으로 동성왕과 결혼동맹을 맺었고
이듬해에 백제의 도움을 받으며 고구려와 싸웠다.
다음해에는 반대로 고구려의 공격을 받은 백제를 구원했다.
18년에도 고구려의 공격을 막았고
19년에는 왜구의 침입은 막았으나 고구려에게 우산성을 빼앗겼다.
22년 왜구의 공격에 장봉진을 빼앗겼고
그 와중에 미인 '벽화'를 후궁으로 맞이하였으나 몇 달 뒤 서거 하였다.

거센 파도와 같은 고구려의 공세를 나제 동맹에 의지해 겨우 겨우 막는 동안,
전통의 원수 왜구의 공격도 끊이지 않아 소지왕은 거의 매년 전쟁을 하여야 했다.
나제동맹이라는 눌지왕의 탁월한 업적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것이나,
당대의 신화와 같은 장수왕의 인생 마지막 대공세를 비교적 선방하며 나라를 지켜낸 것은 소지왕의 업적이라고 할 것이다.
위,아래로 시달리며 위기를 넘기느라 정신없는 와중에도
실업자 대책을 세우고, 유통을 장려하여 경제 부흥을 유도하는 등 경제적 식견 또한 남다른 왕이었다.
소지왕은 수컷 역할에도 충실하였는데, 알려진 후궁만 아홉으로 그중에는 이복동생도 있었다고 한다.
음...고대 왕가의 족보는 원래 개족보지만 신라는 좀 더 심했던 듯하다.
이 양반의 업적 중엔 신궁의 설치도 있는데... 
신궁은 혁거세왕의 탄생지에 세워진 김씨 전용 사당 같은 것으로서
이전의 시조묘는 모든 세력이 참배하고 제사하는 성지로서 왕에게 정통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 반면,
신궁은 김씨 세력만을 위한 성지로서 정통성의 독점을 노린의 의미가 있었고,
신궁의 무녀는 대대로 김씨 왕실의 씨받이가 되어 김씨 족벌체제에 기여하였고
후대에 미실 같은 여걸이 탄생하는 요람이 되었다.

* 사금갑 설화
비처왕 10년에 있었던 이야기라 한다.
왕이 신궁에 거동하였을 때 사람 말을 하는 쥐가 나타나서 까마귀를 따라가라고 건방지게 명령을 하였고,
시종에게 따라가게 하자, 연못에서 웬 노인이 나타나 편지를 전해 주었는데, 
겉봉에 `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열어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라고 쓰여 있었다 한다.
두 사람이 죽는 것보다는 한 사람만 죽는 게 낫지 않겠나 싶었으나
그 한 사람이 왕이라는 소리에 식겁하여 열어보니
`사금갑` 즉 거문고 갑을 쏘라고 적혀 있었다 한다.
왕이 궁에 들어가 시키는대로 하자, 거문고 갑 안에서 숨어있던 중과 궁주가 튀어나왔다 하는데
둘이 그 안에서 뭔 짓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일단 죽여 버렸고,
그 이후 15일을 오기일이라 하고 찰밥을 지어 제사를 지냈다 한다.
이것이 오늘날 정월 대보름날 약밥을 먹는 풍속의 유래가 되었고,
노인이 나타나 편지를 전해주었다는 연못을 서출지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이 설화는,
신라의 전통적인 토속 신앙과 불교 사이의 갈등을 의미한다고도 하고,
불교의 수용을 둘러싼 신라 왕실과 귀족 집단 간의 대립을 나타낸다고도 하고,
김씨 왕족 내부의 소지왕 반대 세력과의 암투 또는 신궁 설치와 관련된 갈등을 내포하고 있다는 등 여러가지 설이 분분하다.
시조묘 제사가 왕실뿐 아니라 여러 세력 집단의 장들이 다함께 국조이자 천신인 혁거세왕에게 올리는 제사였던 반면,
신궁은 김씨 왕실만이 제사를 올리는 장소였으므로,이를 고깝게 생각한 다른 귀족들이 있었을 것이고.., 

이러한 당시의 불안한 사회상을 반영한 설화라는 설이 가장 끌리기는 하지만,
그 누가 알랴...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 1,338
경험치 118
[레벨 1] - 진행률 59%
가입일
2013-05-11 07:36:22
서명
미입력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