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사] 신라 : 제 32 대 효소왕
2015-04-13 12:22
6,797
1
0
0
본문
김 이홍
신문왕의 아들로 6세의 나이에 왕위에 올라 16세에 사망했다.
어린아이가 정무를 살필 수 있을 리는 없으므로 재위 기간 내내 모후가 섭정하였을 것이다.
692년에 아까운 나이로 일찍 죽은 아버지의 뒤를 이었으며
재위 3년에 신궁에 제사 지내었다.
이무렵 김인문이 당에서 66세의 나이로 죽었다.
4년에 서시전과 남시전을 설치해 각각 서시와 남시를 관할케 했다.
7년에는 일본으로부터 조공을 받았고, 발해가 건국하였다.
이듬해에 당과 화해하며 조공했는데, 발해의 건국 덕분에 측천무후를 설득하기 쉬웠을 것이다.
9년에 이찬 경영의 모반을 진압했으며, 이와 연루된 중시 김 순원을 파직했다.
그리고 재위 11년 만에 사망했다.
진평왕의 옥대 장식이 실제 용임을 간파하고 하나를 연못에 넣어 용이 승천하는 것을 목격했다고도 하고
잠시 잃어버렸었던 만파식적을 되찾아 만만파파식적이라고 개명시키기도 했다고 한다.
이러한 일화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총명한 아이였던 것 같기는 하나... 너무 일찍 죽었다.
당연히 왕 노릇이 뭔지도 모르고 모후와 대신들이 하자는 대로 하며 살았을 것이다.
따라서 아버지 신문왕이 노심초사하여 확립한 왕권은 무용지물이었을 것이고, 귀족세력의 대두도 막지 못했을 것이다.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측천무후가 죽은 효소왕을 위해 정무를 2일간 맡지 않았다고 하는데 왜 그랬을까?
발해 때문이었을까?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
[마루밑다락방의 서고] 초승에 뜨는 달은 ‘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 ‘초생(初生)’과 ‘달’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마치 ‘폐렴(肺炎), 가난(艱難)’ 등과도 같은 경우이다.2015-05-25
-
[인문학] 아일랜드... 예이츠의 고향. 가장 늦게 도달한 기독교(카톨릭)에 가장 심취하였고 중세 수도원 운동이 크게 부흥하여 역으로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곳... 중국보다 성리학에 더 미쳤던 한국..자본주의의 실험재료가 되어, 자국의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은 굶어죽는데도 영국으로 식량을 수출해야 했던 나라. 맬더스 인구론의 근거가 됐었고..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분단의 아픔을 격고 있는 나라.. 참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입니다.2015-04-16
-
[인문학] 러셀... 현대의 소크라테스...2015-04-15
-
[인문학]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대가를 치른 후였다.-------------전이겠지요.2015-04-09
-
[인문학] 신영복 교수... 진정 겸손한 글을 쓰는 분이지요.소외 당한 자, 시대의 약자들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이고. 그들을 대변 또는 위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지요.2015-04-08
-
[인문학] 좋군요....2015-04-07
-
[인문학] 과학이 본연의 임무대로 오류들을 이리저리 쳐내가다 보니 알맹이가 하나도 안 남은 형국이되었습니다. 그러니 과학 때문에 목적을 상실했다는 말이 나왔고, 도구에 불과한 과학이 미움을 받는 묘한 지경이 되었습니다만... 그게 과학의 잘못은 아니지요. 만들어진 요리가 맛이 없는게 잘드는 칼의 잘못입니까? 재료가 형편없었던 까닭이지요.2015-04-05
-
[인문학] 물론 ‘목적 없는 세계’라는 아이디어가 ‘신앙의 부재’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겠지만, 어떤 목적으로 움직이는지 회의를 주는 세계는 신앙심을 약화시키는 무신론을 철저히 방조하고 있음엔 틀림없는 것 같다. -------------음... 아직 옛날 습관이 남아있는 어투이군요...전지전능의 무한자는 인간이 알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즉 불가지의 존재이지요. 이 불가지의 존재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도 당연히 불가지입니다. 과학은 이 불가지의 세계를 다루지 않습니다. 그랫다가는 오컴에게 면도날로 난도질 당합니다. ㅋㅋㅋ2015-04-05
댓글목록1
신비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