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여몽전쟁 : 종합 1
본문
세계 전사상 몽골군만큼 압도적인 느낌을 주는 군대는 거의 없다.
알렉산더, 카이사르, 아틸라 ...정도와 비교해 봐도 몽골군이 더 쎈 느낌인데,
이 엄청난 압도감 때문에 마치 몽골군이 천하무적처럼 느껴지긴 하지만,
몽골군이 패배하거나 점령에 실패한 나라도 많다.
우리나라하고도 연관이 많은 일본을 보면,
쿠빌라이는 남송과 전쟁을 할 때 일본에게 송과의 관계를 끊고 원에 복종하기를 요구했다.
그러나 십대의 쇼군은 겁도 없이 거부했고, 수차례에 걸친 협박에도 무시로 일관하였다.
이에 열받은 쿠빌라이가 고려를 앞세워서 일본으로 쳐들어간 게 일본 원정인데,
1차와 2차 모두 태풍으로 연합군이 맛이 가서 원정에 실패하였다.
1차는 몽골과 고려 둘만의 연합군이었는데 ,
마치 유럽의 기사를 연상케 하는 무사도의 일본군과 전쟁 전문가들의 싸움이었으므로 게임이 될 수 없었다.
연합군은 초전부터 일방적으로 밀어붙여 거의 완승할 뻔했으나
태풍으로 배가 왕창 부서지는 바람에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2 차 원정은 옛 송의 병력 10만까지 포함하여 대규모로 진행하였는데,
김방경이 지휘하는 고려군은 선전하였으나 태풍에 또 발목을 잡혔다.
남송의 병력 10 만은 배에서 내려 보지도 못하고 배의 침몰과 함께 다수가 사망하였고,
곤죽이 되어 겨우 상륙한 병사들도 일본의 적개심이 가득한 칼날에 비명횡사하고 말았다.
일본 애들도 일차 때 피 흘리며 제법 배웠던 모양이다.
14만의 연합군 중 생환한 병사는 3만에 불과했다고 한다.
쿠빌라이는 3차 원정도 계획했으나 베트남이 더 열받게 하는 바람에 칼끝을 베트남으로 돌렸고,
덕분에 일본은 태풍 때문에 이겼든 뭐 때문에 이겼든 몽골의 침입을 격퇴했다는 자랑스러운 역사를 갖게 되었다.
몽골은 자체 동원한 병사나 자원이 극히 적었기 때문에 피해가 얼마 안 되었으나,
원정 준비에 피박을 쓰고, 괜히 끌려가 칼춤을 췄던 고려나 칼춤도 제대로 못 추고 죽는 역할만 했던 남송군만 한심하게 된 것이다.
일본은 재수가 좋았다고 치고, 베트남의 경우를 보면,
쿠빌라이는 남방해상로를 장악하기 위해 베트남을 원했다.
몽골(원)은 세 번에 걸쳐 베트남을 침략했고 세 번 다 수도를 함락하는 기염을 토하였는데,
특히 이차 침략에서, 쿠빌라이는 50만을 동원했다고 한다. 과장했다 해도 굉장한 병력이었을 것이다.
이 어마 무시한 공격에 수도 하노이는 물론 전국토가 유린되어 임금도 항복을 고려하고 있었는데,
구국의 영웅 쩐흥다오가 전국에 왕조가 위험하다고 호소하였고,
이에 백성들이 호응하여 무려 25만의 장정들이 모였다고 한다.
이 양반은 이렇게 모은 병사들로 게릴라전을 전개하는 한편 청야전술을 사용하여 원군을 괴롭혔는데,
이로 인해 몽골군은 무더운 기후와 식량부족에 직면하게 되었고 결국 후퇴하다가 역습에 말려 대패하였다.
게릴라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반 백성들의 자발적인 협조가 필수적이므로, 일반 백성들의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 강해야 한다. 따라서 평소 쩐 왕조의 정치가 나쁘지 않았다는 의미도 된다.
패배한 원은 30만 대군을 동원하여 다시 침입하였으나, 쩐흥다오는 바다와 육지에서 활약하며 자랑스러운 역사를 만들었다 .
그외 몽골의 침입을 막았던 나라들을 보면 ,
캄보디아는 베트남이 2차 침입을 받았을 때 덤으로 침입을 받아 수도를 내주었으나,
베트남과 함께 게릴라전을 수행하여 물리쳤고.
백인의 발상지, 체첸의 고향 등으로 알려진 캅카스 지역 또한 몽골군을 격파하였다.
페르시아 속담에 왕이 미치면 캅카스로 전쟁하러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 동네는 지형이 험하고 아주 호전적인 민족들이 살고 있었는데, 이 살벌한 땅으로 수부타이와 제베가 쳐들어갔다가 거의 죽을 뻔했다고 한다.
결국 그 대단한 몽골군도 캅카스는 포기할 수밖에 없었고, 지금의 그루지야인 조지아국과 동맹을 맺는 것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었다.
자바섬도 몽골군을 격퇴하였고.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 역시 명군 바이바르스의 활약으로 몽골 세력을 시리아에서 격퇴했다.
인도의 노예 왕조, 할지 왕조, 투글루크 왕조도 몽골의 도전을 받았으나 치열하게 싸웠고 결국 견뎌냈다.
폴란드도 초장에 무지 깨졌으나 몽골의 사정이야 어찌되었건 저항하여 성공적으로 지켜내었고.
노보고르드는 원래 습지가 많은 땅인데 폭우까지 내려 땅이 너무 질척거리는 바람에 패스, 무사할 수 있었다.
-
[마루밑다락방의 서고] 초승에 뜨는 달은 ‘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 ‘초생(初生)’과 ‘달’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마치 ‘폐렴(肺炎), 가난(艱難)’ 등과도 같은 경우이다.2015-05-25
-
[인문학] 아일랜드... 예이츠의 고향. 가장 늦게 도달한 기독교(카톨릭)에 가장 심취하였고 중세 수도원 운동이 크게 부흥하여 역으로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곳... 중국보다 성리학에 더 미쳤던 한국..자본주의의 실험재료가 되어, 자국의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은 굶어죽는데도 영국으로 식량을 수출해야 했던 나라. 맬더스 인구론의 근거가 됐었고..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분단의 아픔을 격고 있는 나라.. 참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입니다.2015-04-16
-
[인문학] 러셀... 현대의 소크라테스...2015-04-15
-
[인문학]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대가를 치른 후였다.-------------전이겠지요.2015-04-09
-
[인문학] 신영복 교수... 진정 겸손한 글을 쓰는 분이지요.소외 당한 자, 시대의 약자들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이고. 그들을 대변 또는 위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지요.2015-04-08
-
[인문학] 좋군요....2015-04-07
-
[인문학] 과학이 본연의 임무대로 오류들을 이리저리 쳐내가다 보니 알맹이가 하나도 안 남은 형국이되었습니다. 그러니 과학 때문에 목적을 상실했다는 말이 나왔고, 도구에 불과한 과학이 미움을 받는 묘한 지경이 되었습니다만... 그게 과학의 잘못은 아니지요. 만들어진 요리가 맛이 없는게 잘드는 칼의 잘못입니까? 재료가 형편없었던 까닭이지요.2015-04-05
-
[인문학] 물론 ‘목적 없는 세계’라는 아이디어가 ‘신앙의 부재’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겠지만, 어떤 목적으로 움직이는지 회의를 주는 세계는 신앙심을 약화시키는 무신론을 철저히 방조하고 있음엔 틀림없는 것 같다. -------------음... 아직 옛날 습관이 남아있는 어투이군요...전지전능의 무한자는 인간이 알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즉 불가지의 존재이지요. 이 불가지의 존재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도 당연히 불가지입니다. 과학은 이 불가지의 세계를 다루지 않습니다. 그랫다가는 오컴에게 면도날로 난도질 당합니다. ㅋㅋㅋ2015-04-0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