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최영
2024-02-26 15:48
1,909
1
0
0
본문
1316년(충숙왕 3)∼1388년(우왕 14). 고려 후기의 명장.
본관은 창원(昌原). 평장사 최유청의 5세손, 아버지는 사헌규정 최원직
풍채가 괴걸하고 힘이 뛰어났다.
처음에 양광도도순문사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공을 세워 우달치가 되었다.
1352년(공민왕 1)에 안우·최원 등과 함께 조일신의 난을 평정하여 호군이 되었고, 1354년에 대호군이 되었다.
1352년(공민왕 1)에 안우·최원 등과 함께 조일신의 난을 평정하여 호군이 되었고, 1354년에 대호군이 되었다.
당시 원나라에서 고려에 원병을 청하자 유탁·염제신 등 40여 명의 장수와 함께 군사 2,000명을 거느리고 원나라에 갔다.
그 때 원나라의 승상 탈탈 등을 좇아 중국 가오유 등지에서 싸웠다.
1355년에는 회안로에서 적을 막았으며 팔리장에서 싸워 용맹을 떨친 뒤 돌아왔다.
그 때 원나라의 승상 탈탈 등을 좇아 중국 가오유 등지에서 싸웠다.
1355년에는 회안로에서 적을 막았으며 팔리장에서 싸워 용맹을 떨친 뒤 돌아왔다.
이듬해부터 고려가 배원정책을 쓰게 되자
서북면병마부사로 서북면병마사 인당과 함께
원나라에 속했던 압록강 서쪽의 8참(站)을 공격하여 파사부 등 3참을 쳐부수었다.
1357년동북면체복사를 거쳐 이듬해양광전라도왜구체복사가 되어 배 400여 척으로 오예포에 침입한 왜구를 복병을 이용해 격파하였다.
서북면병마부사로 서북면병마사 인당과 함께
원나라에 속했던 압록강 서쪽의 8참(站)을 공격하여 파사부 등 3참을 쳐부수었다.
1357년동북면체복사를 거쳐 이듬해양광전라도왜구체복사가 되어 배 400여 척으로 오예포에 침입한 왜구를 복병을 이용해 격파하였다.
1359년 홍건적 4만 명이 침입하여 서경을 함락시키자,
여러 장수와 함께 생양·철화·서경·함종 등지에서 적을 무찔렀다.
이듬해평양윤 겸 서북면순문사를 거쳐
그 이듬해서북면도순찰사·좌산기상시가 되었다.
여러 장수와 함께 생양·철화·서경·함종 등지에서 적을 무찔렀다.
이듬해평양윤 겸 서북면순문사를 거쳐
그 이듬해서북면도순찰사·좌산기상시가 되었다.
1361년에 홍건적 10만 명이 다시 침입해 개성을 함락시키자,
이듬해 안우·이방실 등과 함께 이를 격퇴하여 개성을 수복하였다.
그 공으로 훈(勳) 1등에 도형벽상공신이 되었고 전리판서에 올랐다.
1363년에는 김용이 공민왕을 시해하려 했던 흥왕사의 변(變)을 평정시켰다.
그 공으로 훈 1등에 진충분의좌명공신이 되었고,
1364년 원나라에 있던 최유가 덕흥군( 충선왕의 셋째아들)을 왕으로 받들고
군사 1만 명으로 압록강을 건너 선주(평안북도 선천)에 웅거하였다.
이에 서북면도순위사로서 이성계 등과 함께 수주(평안북도 정주)의 달천에서 싸워 물리쳤다.
이듬해 안우·이방실 등과 함께 이를 격퇴하여 개성을 수복하였다.
그 공으로 훈(勳) 1등에 도형벽상공신이 되었고 전리판서에 올랐다.
1363년에는 김용이 공민왕을 시해하려 했던 흥왕사의 변(變)을 평정시켰다.
그 공으로 훈 1등에 진충분의좌명공신이 되었고,
1364년 원나라에 있던 최유가 덕흥군( 충선왕의 셋째아들)을 왕으로 받들고
군사 1만 명으로 압록강을 건너 선주(평안북도 선천)에 웅거하였다.
이에 서북면도순위사로서 이성계 등과 함께 수주(평안북도 정주)의 달천에서 싸워 물리쳤다.
또, 연주(평안북도 운산)에 침입한 동녕로만호 박백야대를 장수를 보내 격퇴시켰다.
이듬해 교동·강화에 왜구가 출몰하자 동서강도지휘사가 되어 동강에 나가 지켰다.
이듬해 교동·강화에 왜구가 출몰하자 동서강도지휘사가 되어 동강에 나가 지켰다.
이 때 신돈의 참소로 계림윤으로 좌천되었다가 귀양길에 올랐다.
1371년신돈이 처형되자 6년 만에 풀려나 다시 찬성사가 되었다.
1373년에는 육도도순찰사로 있으면서 군호를 편적하여 전함을 만들게 하였다. 또, 나이 70세 이상인 사람들로부터 쌀을 거두어 군수(軍需)에 보충함으로써 백성들의 원망을 사기도 하였다.
1371년신돈이 처형되자 6년 만에 풀려나 다시 찬성사가 되었다.
1373년에는 육도도순찰사로 있으면서 군호를 편적하여 전함을 만들게 하였다. 또, 나이 70세 이상인 사람들로부터 쌀을 거두어 군수(軍需)에 보충함으로써 백성들의 원망을 사기도 하였다.
1374년경상·전라·양광도도순문사가 되었을 때, 육도도순찰사 시절에 6도를 혼란스럽게 하였다는 이유로 대사헌김속명(金續命) 등의 탄핵을 받았다.
그러나 도리어 김속명이 파면되고 진충분의선위좌명정란공신의 호가 하사되었다.
그러나 도리어 김속명이 파면되고 진충분의선위좌명정란공신의 호가 하사되었다.
그 해 명나라가 제주도의 말 2,000필을 요구하였는데, 제주도의 호목이 300필만 보내왔다.
이에 제주도를 치기로 하고, 양광·전라·경상도도통사가 되어 도병마사 흥방과 함께 전함 314척과 군사 2만 5,600명을 지휘, 제주도를 평정하였다.
그리고 1375년(우왕 1)에는 판삼사사에 올랐다.
이에 제주도를 치기로 하고, 양광·전라·경상도도통사가 되어 도병마사 흥방과 함께 전함 314척과 군사 2만 5,600명을 지휘, 제주도를 평정하였다.
그리고 1375년(우왕 1)에는 판삼사사에 올랐다.
1376년연산 개태사에 침입한 왜구에게 박인계가 패배하자, 민심이 흉흉하였다. 이 때 노구를 이끌고 출정하기를 자원하여 홍산(지금의 충청남도 부여)에서 왜구를 크게 무찔렀으며, 그 공으로 철원부원군에 봉해졌다.
1377년에는 도통사가 되어 강화·통진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는 한편,
왕으로 하여금 교동·강화의 사전(私田)을 혁파하여 군자(軍資)에 충당하게 하였다.
왕으로 하여금 교동·강화의 사전(私田)을 혁파하여 군자(軍資)에 충당하게 하였다.
이 무렵 왜구가 침입하여 개성을 위협하므로 도읍을 철원으로 옮기자는 논의가 있었으나, 군사로서 굳게 지킬 것을 주장하고 이를 반대하였다.
1378년 왜구가 승천부(지금의 豐德)에 침입하자, 이성계·양백연 등과 함께 적을 섬멸하고 그 공으로 안사공신이 되었다.
1378년 왜구가 승천부(지금의 豐德)에 침입하자, 이성계·양백연 등과 함께 적을 섬멸하고 그 공으로 안사공신이 되었다.
1380년에는 해도도통사가 되어 동서강에 나가 왜구를 막다가 병에 걸렸다.
이 때 왕은 공을 기록한 철권(鐵券)과 공을 치하하는 교서를 내렸다.
이듬해 아버지에게는 수시중이 되었다가 이어 영삼사사를 지냈고,
1384년문하시중을 거쳐 판문하부사에 올랐다.
이 때 왕은 공을 기록한 철권(鐵券)과 공을 치하하는 교서를 내렸다.
이듬해 아버지에게는 수시중이 되었다가 이어 영삼사사를 지냈고,
1384년문하시중을 거쳐 판문하부사에 올랐다.
1388년 다시 문하시중이 되어 왕의 밀령(密令)으로 부패와 횡포가 심하던 염흥방·임견미와 그 일당을 숙청하였다.
그 해 그의 딸이 우왕의 비가 되었다.
이 때 명나라가 철령위의 설치를 통고하고 철령 이북과 이서·이동을 요동에 예속시키려 하였다.
이에 요동정벌을 결심하고 팔도도통사가 되어 왕과 함께 평양에 가서 군사를 독려하였다.
그 해 그의 딸이 우왕의 비가 되었다.
이 때 명나라가 철령위의 설치를 통고하고 철령 이북과 이서·이동을 요동에 예속시키려 하였다.
이에 요동정벌을 결심하고 팔도도통사가 되어 왕과 함께 평양에 가서 군사를 독려하였다.
한편, 좌군도통사조민수, 우군도통사이성계로 하여금 군사 3만 8,800여 명으로 요동을 정벌하게 하였으나,
이성계가 조민수를 설득하여 위화도에서 회군함으로써 요동정벌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이성계가 조민수를 설득하여 위화도에서 회군함으로써 요동정벌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이렇게 위화도회군을 단행하고 기세가 오른 이성계의 막강한 원정군을 막지 못하여 결국 도성을 점령당하고 말았다.
이는 고려 말기의 군벌(軍閥) 대립에서 고려왕조를 수호하려는 구파 군벌이 고려왕조를 부정하려는 신진 군벌에게 패배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는 고려 말기의 군벌(軍閥) 대립에서 고려왕조를 수호하려는 구파 군벌이 고려왕조를 부정하려는 신진 군벌에게 패배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강직 용맹하고 청렴했던 그는 이성계에게 잡혀 고향인 고봉현(지금의 경기도 고양)으로 유배되었다.
그 뒤 다시 합포(지금의 경상남도 마산)·충주로 옮겨졌다가
공료죄(요동을 공격한 죄)로 개성에 압송되어 순군옥에 갇혔고, 그 해 12월에 참수(斬首)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개성 사람들은 저자의 문을 닫고 슬퍼하였으며, 온 백성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그 뒤 다시 합포(지금의 경상남도 마산)·충주로 옮겨졌다가
공료죄(요동을 공격한 죄)로 개성에 압송되어 순군옥에 갇혔고, 그 해 12월에 참수(斬首)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개성 사람들은 저자의 문을 닫고 슬퍼하였으며, 온 백성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이성계는 새 왕조를 세우고 나서 6년 만에 무민이라는 시호를 내려 넋을 위로하였다.
경기도 고양에 있는 그의 무덤은 풀이 나지 않는다 하여 적분(赤墳)으로 불린다. 그 산 위에는 장군당(將軍堂)이 있어 무당들에게 숭상의 대상이 되고 있다.
경기도 고양에 있는 그의 무덤은 풀이 나지 않는다 하여 적분(赤墳)으로 불린다. 그 산 위에는 장군당(將軍堂)이 있어 무당들에게 숭상의 대상이 되고 있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마루밑다락방
회원등급 : 최고관리자
포인트 2,000,007,606
경험치 67
[레벨 1] - 진행률
34%
가입일
2017-11-29 22:06:08
서명
반갑습니다. 관리자입니다.
-
[한국사] 최영장군 설화도있던데...인물전설의 하나. 고려 말기의 명장 최영에 얽힌 이야기. 최영은 무장으로서 수많은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며 간신의 발호를 징치한 인물로서 그의 행적은 ≪고려사≫ 열전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같은 최영장군의 실제 행적과는 다른 설화가 세간에 전승되는데 경기도 강화군과 강원도 영월군에서 채록된 것이 있다. 강화도 자료는 최영장군을 신으로 모시는 무녀 송분임이 구연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최영장군은 딸이 하나 있었는데 그녀에게는 사랑하는 남자가 있었다. 그런데 최영장군은 사윗감은 자신이 직접 시험하여 자기만한…2024-02-26
-
[공지사항] 숙지하겠습니다.2019-12-02
댓글목록1
마루밑다락방님의 댓글
인물전설의 하나. 고려 말기의 명장 최영에 얽힌 이야기. 최영은 무장으로서 수많은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며 간신의 발호를 징치한 인물로서 그의 행적은 ≪고려사≫ 열전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같은 최영장군의 실제 행적과는 다른 설화가 세간에 전승되는데 경기도 강화군과 강원도 영월군에서 채록된 것이 있다. 강화도 자료는 최영장군을 신으로 모시는 무녀 송분임이 구연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최영장군은 딸이 하나 있었는데 그녀에게는 사랑하는 남자가 있었다. 그런데 최영장군은 사윗감은 자신이 직접 시험하여 자기만한 재능이 있는 사람을 고르려고 하였다. 그래서 그 젊은이를 불러서 먼저 자기의 재주를 보여주었다. 즉, 최영장군이 목을 자르고 난 뒤 그 목이 다시 붙어 소생하는 재능이었다. 딸은 아버지가 다시 살아나면 자신의 결혼이 성사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떨어진 목에 매운 재를 뿌려 아버지의 목이 다시 붙지 못하게 했다는 것이다.
이 설화는 대적 퇴치설화에서 전이된 것으로 보이는데 최영장군의 신이한 능력을 강조하는 의미와 억울한 최후를 드러내는 의미가 있다. 영원군 자료에 의하면 경상도 덕구리에는 서낭당 당신으로 최영장군을 모시고 있고 영월군 내덕리에는 단종신을 서낭신으로 모신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두 마을의 서낭기가 마주치면 최영장군 모신 깃봉이 저절로 부러진다는데 그 이유는 신하보다 왕이 높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밖에 개성 덕물산 무당의 신당에도 최영장군이 신으로 모셔졌는데 이 신에게는 처녀를 바치는 습속이 있었다고 전한다. 이처럼 최영장군 설화는 대체로 최영장군을 신으로 모시는 사람들 주변에서 신성성을 견지하면서 전승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영장군설화 [崔瑩將軍說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한국사전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