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공민왕
2024-02-26 15:52
1,694
0
0
0
본문
1330년(충숙왕 17)∼1374년(공민왕 23).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년∼1374년. 이름은 전(顓). 초명은 기(祺). 몽고식 이름은 빠이앤티무르(伯顔帖木兒).
아버지 충숙왕과 어머니 명덕태후 홍씨(洪氏) 사이의 둘째 .
비(妃)는 원나라 위왕의 딸 노국대장공주이다
일찍이 강릉대군(江陵大君)에 봉해졌고
1341년원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했으며
1344년(충목왕 즉위년)에는 강릉부원대군으로 봉해졌다.
1349년원나라에서 노국대장공주를 비로 맞이하였다.
1351년원나라가 외척의 전횡과 국정문란의 책임을 물어 충정왕을 폐위시키자, 공주와 함께 귀국해 왕위에 올랐다.
아버지 충숙왕과 어머니 명덕태후 홍씨(洪氏) 사이의 둘째 .
비(妃)는 원나라 위왕의 딸 노국대장공주이다
일찍이 강릉대군(江陵大君)에 봉해졌고
1341년원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했으며
1344년(충목왕 즉위년)에는 강릉부원대군으로 봉해졌다.
1349년원나라에서 노국대장공주를 비로 맞이하였다.
1351년원나라가 외척의 전횡과 국정문란의 책임을 물어 충정왕을 폐위시키자, 공주와 함께 귀국해 왕위에 올랐다.
공민왕은 14세기 후반, 원명교체(元明交替)라는 대륙정세를 이용해 많은 개혁을 추진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적극적인 배원정책(排元政策)을 펴 몽고의 잔재를 일소하고
실지(失地)의 회복을 위해 북진정책을 실시하였다.
대내적으로는 고려왕실을 약화시킨 친원권문세족을 제거하고 국가기강을 재정립하기 위해 일곱 차례에 걸친 관제개혁을 실시하였다.
대외적으로는 적극적인 배원정책(排元政策)을 펴 몽고의 잔재를 일소하고
실지(失地)의 회복을 위해 북진정책을 실시하였다.
대내적으로는 고려왕실을 약화시킨 친원권문세족을 제거하고 국가기강을 재정립하기 위해 일곱 차례에 걸친 관제개혁을 실시하였다.
1352년에는 변발(辮髮)·호복(胡服) 등의 몽고풍속을 폐지하였다.
1356년 몽고의 연호(年號)·관제(官制)를 폐지해 문종(文宗) 때의 제도를 복구하는 한편,
내정을 간섭하던 원나라의 정동행중서성이문소를 폐지하고
원나라의 황실과 인척관계를 맺고 권세를 부리던 기철 일파를 숙청하였다.
또한 100년간이나 존속해 온 쌍성총관부를 폐지하여 원나라에게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였다.
1356년 몽고의 연호(年號)·관제(官制)를 폐지해 문종(文宗) 때의 제도를 복구하는 한편,
내정을 간섭하던 원나라의 정동행중서성이문소를 폐지하고
원나라의 황실과 인척관계를 맺고 권세를 부리던 기철 일파를 숙청하였다.
또한 100년간이나 존속해 온 쌍성총관부를 폐지하여 원나라에게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였다.
1368년 명나라가 건국되자, 이인임을 보내어 명나라와 합동으로 요동(遼東)에 남아 있던 원나라의 잔여세력을 공략하였다.
2년 뒤 이성계로 하여금 동녕부를 치게 하여 오로산성을 점령하고 국위를 떨쳤다.
내정에 있어서는 1352년 폐단이 많았던 정방(政房)을 폐지하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해 귀족들이 겸병한 토지를 원래의 소유자에게 환원시키는 한편,
불법으로 노비가 된 사람들을 해방시켰다.
2년 뒤 이성계로 하여금 동녕부를 치게 하여 오로산성을 점령하고 국위를 떨쳤다.
내정에 있어서는 1352년 폐단이 많았던 정방(政房)을 폐지하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해 귀족들이 겸병한 토지를 원래의 소유자에게 환원시키는 한편,
불법으로 노비가 된 사람들을 해방시켰다.
그러나 홍건적과 왜구의 잦은 침입,
1363년 찬성사 김용의 반란,
1364년 덕흥군을 옹립하려고 했던 부원파 최유의 반란 등으로 국력이 소모되기도 하였다.
1365년 노국대장공주가 죽자 실의에 빠져 국사를 모두 신돈에게 맡기고 불사에만 전념하였다.
그러나 신돈은 실정을 거듭하고 왕을 해치려 하였으므로 그를 수원으로 귀양 보낸 뒤 사사(賜死)하였다.
1363년 찬성사 김용의 반란,
1364년 덕흥군을 옹립하려고 했던 부원파 최유의 반란 등으로 국력이 소모되기도 하였다.
1365년 노국대장공주가 죽자 실의에 빠져 국사를 모두 신돈에게 맡기고 불사에만 전념하였다.
그러나 신돈은 실정을 거듭하고 왕을 해치려 하였으므로 그를 수원으로 귀양 보낸 뒤 사사(賜死)하였다.
1372년 명문자제들로 구성된 자제위를 설치하였고,
1373년 반야와의 사이에서 나은 모니노( 훗날의 우왕)에게 우라는 이름을 하사하고 강녕부원대군으로 봉하였다.
그런데 자제위 소속 홍륜이 익비를 범해 임신시키자 그것을 은폐할 목적으로
홍륜과 밀고자인 환관 최만생등을 죽이려고 시도하였지만
도리어 그들에게 살해당했다.
1373년 반야와의 사이에서 나은 모니노( 훗날의 우왕)에게 우라는 이름을 하사하고 강녕부원대군으로 봉하였다.
그런데 자제위 소속 홍륜이 익비를 범해 임신시키자 그것을 은폐할 목적으로
홍륜과 밀고자인 환관 최만생등을 죽이려고 시도하였지만
도리어 그들에게 살해당했다.
공민왕은 그림과 글씨에 뛰어나 고려의 대표적인 화가로 꼽힌다.
현전하는 작품으로는 『천산대렵도』가 있다.
능은 현릉(玄陵)으로 경기도 개성군 중서면에 있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마루밑다락방
회원등급 : 최고관리자
포인트 2,000,007,606
경험치 67
[레벨 1] - 진행률
34%
가입일
2017-11-29 22:06:08
서명
반갑습니다. 관리자입니다.
-
[한국사] 최영장군 설화도있던데...인물전설의 하나. 고려 말기의 명장 최영에 얽힌 이야기. 최영은 무장으로서 수많은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며 간신의 발호를 징치한 인물로서 그의 행적은 ≪고려사≫ 열전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같은 최영장군의 실제 행적과는 다른 설화가 세간에 전승되는데 경기도 강화군과 강원도 영월군에서 채록된 것이 있다. 강화도 자료는 최영장군을 신으로 모시는 무녀 송분임이 구연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최영장군은 딸이 하나 있었는데 그녀에게는 사랑하는 남자가 있었다. 그런데 최영장군은 사윗감은 자신이 직접 시험하여 자기만한…2024-02-26
-
[공지사항] 숙지하겠습니다.2019-12-02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