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사] 발해 9 : 멸망
본문
대인선
발해의 마지막 왕, 재위 기간은 21년.
10세기 초의 동아시아는 격동 그 자체였다.
신라는 후삼국으로 분열되어 서로 치고 받느라 정신이 없었고, 당나라는 황소의 난 이후 주전충에게 나라를 뺏겨 존재하지도 않았다.
그동안 당나라에 눌려 이리 터지고 저리 터지던 거란은 야율아보기라는 걸출한 영웅을 만나 무섭게 팽창하고 있었고...
천하를 뺑 둘러보아도 어디 한 군데 조용한 데가 없는 그야말로 난세였다.
이 격동의 10세기 초에 즉위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인선 왕은 거란의 팽창에 두려움을 느끼고,
이웃한 여러 나라와 힘을 합쳐 거란을 막고자 하였으나, 하나같이 제 코가 석자라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하였다.
그래도 20년 가까이 거란의 준동을 어찌어찌 막으며 버텨왔으나, 924년, 요동 전투의 승리를 끝으로 운이 다하였다
925년 12월 21일, 거란은 지난 요동 전투의 패배를 설욕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공격을 시작하였는데,
20여 년 동안 아무리 두들겨도 꿈쩍도 않는 요동방어선은 내버려두고, 부여부를 직공하여 포위 3일 만에 함락시켰다고 한다.
당황한 왕은 주변을 닥닥 긁어 모은 군사 3만을 노상에게 주어 거란을 막으려고 하였으나,
노상은 맥없이 패하며 왕의 마지막 밑천을 날려버렸고.거란은 단숨에 발해의 수도인 상경용천부을 포위하였다.
왕은 백성들에게 총동원령을 내리고 결사항전 의지를 표명했으나,백성들은 단체로 피난을 떠났고 한다.
포위된지 4일, 거란과 전투가 시작된 지 불과 15일 만인 926년 1월 14일,
대인선과 300여 명의 신하들은 변변한 저항도 못해보고 야율아보기에게 무릎을 꿇었다.
야율아보기는 대인선 왕을 처음엔 정성껏 대접했으나,
성을 접수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발해가 다시 저항하자,
열받은 야율아보기는 성을 공격해 함락시키고, 대인선 왕과 왕후를 거란 본토로 끌고 갔는데,
왕과 왕후를 각각 지들 부부가 탄 말의 이름인 오로고와 아리지라고 부르며 모욕했다고 한다....쩝
지리적 요건 상, 요동이 대당 요새라면 부여부는 대 거란 방어기지라고 할 수 있는데,
당시는 당이 맛이 간 상태였기 때문에 요동도 대 거란 방어 임무를 주로 수행했을 것이다.
그리고 부여부는 수도인 상경용천부와 인접해있어서 전략적 중요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었다.
그런데 주력을 요동에다만 모아두고 부여부의 방비를 그렇게 허술하게 했다는 것이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부여부의 함락이 패전의 결정적 이유라는데,
그렇다면 부여부에서 전투가 벌어졌을 때 요동의 주력들은 뭘하고 있었던 것일까?
그리고 왕은 왜 요동의 군사들을 움직이지 않고 수도의 병력을 빼어 노성에게 주었던 것일까?
왕은 결사항전의지를 불태우고 성은 거란에 포위되어 있었는데 백성들은 어떻게 단체로 성을 빠저나갈 수 있었을까?
거란과 사전교감이 있던 유력자가 왕명을 거역하고 백성들을 빼돌린 것은 아닐까?
그리고 5경 62주를 자랑했던 발해였는데, 나머지 지역들은 수도가 함락되는 동안 뭐하고 있었을까?
15대 228년의 역사를 가진, 나름의 강국 발해가 이렇게 허망한 최후를 맞이한 이유로는,
대현석 왕 시기부터 이어온 귀족들의 권력다툼 및 분열, 흑수말갈을 비롯한 말갈 제 부족들의 반발, 백두산 화산 폭발 등의 자연재해, 민심이반 등이 거론되는데,
한 두가지 원인 때문이라기 보다는, 위의 여러가지 요소들이 복합되어, 거란과 싸움에 힘을 효과적으로 결집시키지 못해서 망했을 것이다.
이후 일부 귀족세력은 고려에 귀부하였고 왕건의 든든한 무력기반이 되어 통일 전쟁에 기여하였는데,
이것이 고려가 발해를 흡수하였으므로 발해도 우리 조상 국가라는 주장의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백성들과 다수의 세력들은 만주에 남았고, 고려와 관계없이 200년의 세월동안 줄기차게 부흥운동을 전개하였다.
대인선 왕
정신 없는 시기에 왕 노릇하느라 고생이 많았을 것이 분명하나.
내치, 외치의 기록이 거의 없어 동정조차 받지 못하는 비운의 왕이다.
만일 이 시기에, 한반도에 통일된 세력이 있어서, 함께 거란을 막아내고 발해를 흡수했다면 어땠을까?
에효... 부질없다.
-
[마루밑다락방의 서고] 초승에 뜨는 달은 ‘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 ‘초생(初生)’과 ‘달’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마치 ‘폐렴(肺炎), 가난(艱難)’ 등과도 같은 경우이다.2015-05-25
-
[인문학] 아일랜드... 예이츠의 고향. 가장 늦게 도달한 기독교(카톨릭)에 가장 심취하였고 중세 수도원 운동이 크게 부흥하여 역으로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곳... 중국보다 성리학에 더 미쳤던 한국..자본주의의 실험재료가 되어, 자국의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은 굶어죽는데도 영국으로 식량을 수출해야 했던 나라. 맬더스 인구론의 근거가 됐었고..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분단의 아픔을 격고 있는 나라.. 참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입니다.2015-04-16
-
[인문학] 러셀... 현대의 소크라테스...2015-04-15
-
[인문학]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대가를 치른 후였다.-------------전이겠지요.2015-04-09
-
[인문학] 신영복 교수... 진정 겸손한 글을 쓰는 분이지요.소외 당한 자, 시대의 약자들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이고. 그들을 대변 또는 위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지요.2015-04-08
-
[인문학] 좋군요....2015-04-07
-
[인문학] 과학이 본연의 임무대로 오류들을 이리저리 쳐내가다 보니 알맹이가 하나도 안 남은 형국이되었습니다. 그러니 과학 때문에 목적을 상실했다는 말이 나왔고, 도구에 불과한 과학이 미움을 받는 묘한 지경이 되었습니다만... 그게 과학의 잘못은 아니지요. 만들어진 요리가 맛이 없는게 잘드는 칼의 잘못입니까? 재료가 형편없었던 까닭이지요.2015-04-05
-
[인문학] 물론 ‘목적 없는 세계’라는 아이디어가 ‘신앙의 부재’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겠지만, 어떤 목적으로 움직이는지 회의를 주는 세계는 신앙심을 약화시키는 무신론을 철저히 방조하고 있음엔 틀림없는 것 같다. -------------음... 아직 옛날 습관이 남아있는 어투이군요...전지전능의 무한자는 인간이 알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즉 불가지의 존재이지요. 이 불가지의 존재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도 당연히 불가지입니다. 과학은 이 불가지의 세계를 다루지 않습니다. 그랫다가는 오컴에게 면도날로 난도질 당합니다. ㅋㅋㅋ2015-04-05
댓글목록1
변태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