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사] 고구려 : 제 6 대 태조대왕
본문
태조대왕
시조도 아닌 왕이 태조라는 시호를 받았고 거기에 대왕이다.
처음부터 심상치 않은데 기록을 보면 더 어이가 없다.
7세에 왕위에 올라 118세에 사망하였는데, 99세에 동생인 차대왕에게 선위하고 상왕으로 9년을 더 살았다 한다.
재위기간만 93년으로 세계 최장 기록이다.
모본왕이 축출된 후 다음 왕을 추대할 때, 아들인 태자는 불초하다 하여 배제되었고, 사촌 동생인 태조왕이 7살의 나이로 낙점되었다고 하는데...
아들은 안 되는데 사촌 동생이 되는 것은 무슨 논리일까?
그리고 원래는 아버지 재사가 추천을 받았는데, 재사는 나이가 많다고 거절하고 자기 아들을 추천하였다 하는데..
재사의 나이가 얼마나 많았기에 7살짜리에게 왕 노릇을 하게 하였을까?
재사는 유리명왕의 막내아들이라 하므로
유리왕의 사후 38년이 지난 시점이고 대무신왕이 서기 4년에 태어난 것을 고려하면
나이가 많아야 40대 중반 이었을 것이다.
중년이라는 이야기인데...중년이 나이가 많아 왕위를 고사하고 코흘리개를 왕으로 삼는다?
거기에 유리왕의 손자라면 해씨일 터인데 왜 태조왕은 고씨일까?
참으로 이해가 안가는 구석이 많다.
동명성왕과 유리명왕이 이주세력이 확실하다면,
이 이주세력을 중심으로 토착세력인 소노부와 계루부의 주도권 쟁탈전이 마치 드라마와 같이 치열하게 전개된 것이 고구려 초기 역사일 것이다.
초기에는 엎치락 뒤치락 하였지만 결국 계루부의 승리로 귀결되었고,
이 때부터 제대로 된 고구려의 역사가 시작되었다..라고 생각하면 어느 정도 얼개는 짜이지만,
워낙 오래전의 일이므로 입증할 수는 없다.
그저 신비로울 정도로 오래 살면서 고구려를 조폭 수준의 부족국가에서 왕권이 살아있는 고대국가로 나아가게 만든 대단한 왕 정도로만 기억해도 무방할 것이다.
태조왕은 어려서 매우 총명하였는데 특이하게도 태어나자마자 눈을 떠서 주위를 둘러 보았다 한다.
음...석가모니 보다는 못하지만.. 그러려니 하자.
너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으므로 초기에는 모후가 섭정을 하였고,
장성 한 이후에는 정복국가 고구려의 실질적 시조답게 주변 국가들을 약탈하고 병탄하기 시작하였다.
55년 요서 지역에 10개 성을 쌓아 후한의 침공에 대비하였고
56년에는 동옥저를 병합하여 동으로는 창해, 남으로는 살수에 이르렀다.
68년에 갈사국을, 70년에는 조나를, 72년에는 주나를 병합하였고
105년에는 요동군을 공격하여 약탈하였고
118년에는 예맥과 더불어 현도군과 화려성을 공격하였다.
121년 봄에는 후한이 예맥을 공격하여, 동생인 수성을 보내 막도록 하였고 국정을 돌보도록 하였다.
왜 둘씩이나 있는 아들이 아니고 동생일까?
음력 4월에는 요동의 선비족과 더불어 요수현을 공격하여 요동태수 채풍을 살해하였다.
음력 12월에는 마한, 예맥과 함께 현도성을 공격하여 포위하였으나 부여가 방해하여 크게 패하였다.
122년에도 마한, 예맥과 함께 현도성을 쳤으나 부여의 방해로 패배하였다.
그런데 왜 마한이고 예맥일까? 현도성이 살수 남쪽에 있었단 말인가?
146년에 요동의 신안과 거향을 약탈하고 서안평을 공격하여 대방현령을 죽이고 낙랑태수의 처자를 생포하였다.
이때가 99세,
도대체 죽을 생각을 안 하는 형보다 먼저 늙어죽을 것을 염려한 동생이 쿠데타를 일으켰고
태조왕은 상왕으로 물러나 별궁에서 여생을 보내다 165년 서거했다.
향년 118세.
워낙 오래 재위하였고 업적이 많아 한 사람이 아니라는 설, 후대에 조작으로 기간을 늘렸다는 설... 별의 별 설이 난무하지만...
강력해진 무력을 바탕으로 후한의 변경요새를 본격적으로 두들기기 시작한 왕이었다.
비록 약탈하고 화친하고를 반복하는 전형적인 흉노 짓이었지만, 이 짓도 강해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중국 놈들이 보기에는 어떨런지 몰라도 고구려의 입장에서는 강국의 기초를 놓은 명군이었다.
태조라 불리기에 손색이 없다.
-
[마루밑다락방의 서고] 초승에 뜨는 달은 ‘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 ‘초생(初生)’과 ‘달’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마치 ‘폐렴(肺炎), 가난(艱難)’ 등과도 같은 경우이다.2015-05-25
-
[인문학] 아일랜드... 예이츠의 고향. 가장 늦게 도달한 기독교(카톨릭)에 가장 심취하였고 중세 수도원 운동이 크게 부흥하여 역으로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곳... 중국보다 성리학에 더 미쳤던 한국..자본주의의 실험재료가 되어, 자국의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은 굶어죽는데도 영국으로 식량을 수출해야 했던 나라. 맬더스 인구론의 근거가 됐었고..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분단의 아픔을 격고 있는 나라.. 참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입니다.2015-04-16
-
[인문학] 러셀... 현대의 소크라테스...2015-04-15
-
[인문학]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대가를 치른 후였다.-------------전이겠지요.2015-04-09
-
[인문학] 신영복 교수... 진정 겸손한 글을 쓰는 분이지요.소외 당한 자, 시대의 약자들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이고. 그들을 대변 또는 위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지요.2015-04-08
-
[인문학] 좋군요....2015-04-07
-
[인문학] 과학이 본연의 임무대로 오류들을 이리저리 쳐내가다 보니 알맹이가 하나도 안 남은 형국이되었습니다. 그러니 과학 때문에 목적을 상실했다는 말이 나왔고, 도구에 불과한 과학이 미움을 받는 묘한 지경이 되었습니다만... 그게 과학의 잘못은 아니지요. 만들어진 요리가 맛이 없는게 잘드는 칼의 잘못입니까? 재료가 형편없었던 까닭이지요.2015-04-05
-
[인문학] 물론 ‘목적 없는 세계’라는 아이디어가 ‘신앙의 부재’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겠지만, 어떤 목적으로 움직이는지 회의를 주는 세계는 신앙심을 약화시키는 무신론을 철저히 방조하고 있음엔 틀림없는 것 같다. -------------음... 아직 옛날 습관이 남아있는 어투이군요...전지전능의 무한자는 인간이 알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즉 불가지의 존재이지요. 이 불가지의 존재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도 당연히 불가지입니다. 과학은 이 불가지의 세계를 다루지 않습니다. 그랫다가는 오컴에게 면도날로 난도질 당합니다. ㅋㅋㅋ2015-04-05
댓글목록3
마루밑다락방님의 댓글
태조왕으로 하여금 계루부와 소노부의 끝짱 싸움인건가?
아온님의 댓글
마루밑다락방님의 댓글의 댓글
요즘으로 말하면 새누리당, 새정치민주연합 이런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