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사] 고구려 : 제 9 대 고국천왕 그리고 진대법
본문
고국천왕
시호에 천왕이 붙으니까 대왕보다 더 대접을 받은 것 같지만,
하늘 천자가 아니라 내 천자 천왕으로, 무덤이 고국천원에 있는 왕이라는 뜻이다.
신대왕의 둘째 아들로 형을 제끼고 왕위에 올랐는데 키가 구척에
덩치가 크고 위엄이 있었다 한다.
발음도 요상한 형 발기는 용렬하다 하여 대신들에게 비토 당해 왕위에 오르지 못했으나
그냥 물러나지 않고 요동의 공손강 그리고 명림답부를 배출했던 연나부와 손을 잡고 반란을 일으켰다.
나름 능력이 있었던 모양인데...바로 진압 당하고 요동에서 여생을 보냈다 한다.
신대왕의 아들 중 또 다른 발기는 산상왕 때 반란을 일으키는데, 이 발기는 소노부와 손을 잡는다.
신대왕의 아들들의 이름이 요상하여 혼란스러운데
첫째의 이름은 발기, 둘째는 남무, 셋째는 또 발기, 넷째는 연우, 다섯째는 계수이다.
설마 아들들의 이름을 동일하게 지었을까 싶기도 하고,
또 이 발기들이 모두 동생에게 왕위를 빼았겨서 반란을 일으키고, 실패했다는 것도 상당히 부자연스럽다.
그래서 고국천왕과 산상왕이 동일 인물이라는 설도 있다.
아마도 중앙 집권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왕권이 약해,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각 부족들의 세력 다툼이 심했던 고구려의 초기 상황이 만들어 낸 혼란일 것이다.
뭐가 어떻게 되었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에 의하면
고국천왕은 즉위 원년에 발기의 발기를 잠재웠고
이듬해에 형사 취수의 여인 절노부의 우씨를 왕후로 맞이하였다.
그로부터 4년 뒤 요동 태수가 쳐들어 오자 직접 출병하여 좌원에서 격퇴하였고..
이렇게 내우와 외환을 극복하며 그럭저럭 한 6년째 살던 중
세력이 강해진 외척들이 왕의 통제에 반발해 반란을 일으켰고.이듬해 수도까지 공격을 받는 일이 발생하였다.
왕은 반란을 진압한 후 귀족세력에 넌더리가 났는지, 평민 출신의 을파소를 등용하여, 국상에 임명하고 강력한 권한을 부여하였다.
3년 뒤에는 진대법을 제정하여 백성들을 구휼하는 등 선정을 베풀었고 그로부터 3년뒤인 197년에 급사하였다 한다.
재위 기간은 18년, 죽은 나이는 정확히 모른다.
고국천왕의 재위 시기 중국은 후한 말기로서 황건적의 난이 발생하고 군웅들이 할거하기 시작하는 난세였다.
유민이 당연히 많이 발생하였고 이들 중 일부는 고구려에 유입되었다.
고대에서 국력은 백성들 머릿수와 비례하므로 요동 태수는 민감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당연히 외환이 따랐을 것이고 국내 제 귀족 세력들의 이합집산과 갈등의 수위 또한 높았을 것이다.
이러한 민감한 시기에 각종 환란을 극복하고 을파소같은 명재상을 기용하여 나라를 안정시키고 중앙 집권을 강화한 능력은 범상치 않다 하겠다.
백성들이 국가의 공민이라는 개념이 나타나는 것도 이시기부터이고 5부족이 방위를 나타내는 5방으로 바뀌는 것도 이시기부터이다.
고국천왕...
명군의 반열에 놓아 부족함이 없는 인물이었다.
진대법
진(賑)은 흉년에 기아민(飢餓民)에게 곡식을 주는 것을 말하고,
대(貸)는 봄에 미곡을 대여하고 가을 추수 후에 회수하는 것을 뜻한다.
3월부터 7월까지 관곡을 풀어서 진대하였다가 10월에 환납하도록 하였다는데,
이 제도는 이 시기에만 일시적으로 시행되고 것이 아니라 고려, 조선까지 면면이 이어졌다.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위민 정책으로 세계 최초의 사회보장제도였을 것이다.
진대법의 시행이 선정인 것은 말할 나위가 없으나, 중앙집권 강화라는 노림이 숨어 있는 탁월한 정책이기도 하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흉년은 없는 백성들에게는 특히 힘든 시기이므로 노비가 급증하게 된다.
노비의 증가는 공민의 숫자를 줄이는 한편, 유력자의 세력을 키우므로 중앙집권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제 정신이 있는 왕이라면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
을파소의 생각이었겠지만, 이에 대해 제대로 된 대책을 세운 사상 최초의 임금이 고국천왕이었다.
-
[마루밑다락방의 서고] 초승에 뜨는 달은 ‘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 ‘초생(初生)’과 ‘달’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마치 ‘폐렴(肺炎), 가난(艱難)’ 등과도 같은 경우이다.2015-05-25
-
[인문학] 아일랜드... 예이츠의 고향. 가장 늦게 도달한 기독교(카톨릭)에 가장 심취하였고 중세 수도원 운동이 크게 부흥하여 역으로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곳... 중국보다 성리학에 더 미쳤던 한국..자본주의의 실험재료가 되어, 자국의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은 굶어죽는데도 영국으로 식량을 수출해야 했던 나라. 맬더스 인구론의 근거가 됐었고..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분단의 아픔을 격고 있는 나라.. 참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입니다.2015-04-16
-
[인문학] 러셀... 현대의 소크라테스...2015-04-15
-
[인문학]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대가를 치른 후였다.-------------전이겠지요.2015-04-09
-
[인문학] 신영복 교수... 진정 겸손한 글을 쓰는 분이지요.소외 당한 자, 시대의 약자들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이고. 그들을 대변 또는 위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지요.2015-04-08
-
[인문학] 좋군요....2015-04-07
-
[인문학] 과학이 본연의 임무대로 오류들을 이리저리 쳐내가다 보니 알맹이가 하나도 안 남은 형국이되었습니다. 그러니 과학 때문에 목적을 상실했다는 말이 나왔고, 도구에 불과한 과학이 미움을 받는 묘한 지경이 되었습니다만... 그게 과학의 잘못은 아니지요. 만들어진 요리가 맛이 없는게 잘드는 칼의 잘못입니까? 재료가 형편없었던 까닭이지요.2015-04-05
-
[인문학] 물론 ‘목적 없는 세계’라는 아이디어가 ‘신앙의 부재’와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겠지만, 어떤 목적으로 움직이는지 회의를 주는 세계는 신앙심을 약화시키는 무신론을 철저히 방조하고 있음엔 틀림없는 것 같다. -------------음... 아직 옛날 습관이 남아있는 어투이군요...전지전능의 무한자는 인간이 알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즉 불가지의 존재이지요. 이 불가지의 존재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도 당연히 불가지입니다. 과학은 이 불가지의 세계를 다루지 않습니다. 그랫다가는 오컴에게 면도날로 난도질 당합니다. ㅋㅋㅋ2015-04-05
댓글목록1
마루밑다락방님의 댓글
재밌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