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찬기파랑가:충담사

2013-09-17 10:59
5,227
0
0
본문
기파랑을 찬양하는 노래
구름을 열고
나타난 달이
흰구름을 따르는구나
새파란 냇가에
서계시던 기랑의 모습
냇가 조약돌 하나 하나에 새겨진
님의 높은 뜻
그 마음의 끝자락이라도 따르고자
아 잣나무처럼 드높고
항상 푸른 님이시여
열치매
나타난 달이
흰구름 쫓아 떠가는 것 아니아
새파란 나래에
기랑의 모습이 있어라
일로 냇가 조약에
낭의 지니시던
마음의 끝을 좆누아져
아으, 잣가지 드높아
서리를 모르시올 화반이여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荳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 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蓑惡希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層逐內良齊
阿耶 栢史叱枝次高荳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열오이처미
로효사은월라리
백운음축간부거은안지하
사시팔릉은정리야중
기랑의모사시사수사
일오천리질적오희
랑야지이지여사오은
심미제질힐축내량제
아야백사질지차고지호
설시모동내호시화판야
[이 게시물은 윤님에 의해 2013-10-07 11:05:18 아온에서 이동 됨] [이 게시물은 마루밑다락방님에 의해 2014-12-22 21:06:54 고전문학 해석에서 복사 됨] http://hisking.com/bbs/board.php?bo_table=classicalliterature&wr_id=2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
[마루밑다락방의 서고] 초승에 뜨는 달은 ‘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 ‘초생(初生)’과 ‘달’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마치 ‘폐렴(肺炎), 가난(艱難)’ 등과도 같은 경우이다.2015-05-25
-
[인문학] 아일랜드... 예이츠의 고향. 가장 늦게 도달한 기독교(카톨릭)에 가장 심취하였고 중세 수도원 운동이 크게 부흥하여 역으로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곳... 중국보다 성리학에 더 미쳤던 한국..자본주의의 실험재료가 되어, 자국의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은 굶어죽는데도 영국으로 식량을 수출해야 했던 나라. 맬더스 인구론의 근거가 됐었고..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분단의 아픔을 격고 있는 나라.. 참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입니다.2015-04-16
-
[인문학] 러셀... 현대의 소크라테스...2015-04-15
-
[인문학]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대가를 치른 후였다.-------------전이겠지요.2015-04-09
-
[인문학] 신영복 교수... 진정 겸손한 글을 쓰는 분이지요.소외 당한 자, 시대의 약자들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이고. 그들을 대변 또는 위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지요.2015-04-08
-
[인문학] 좋군요....2015-04-0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