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미국 국가
본문
때는 바야흐로 나폴레옹의 전성시대. 유럽이 나폴레옹 수중에 떨어졌지만, 영국만은 굳건하게 버티고 있었다. 신생국 미국은 표면적으로는 중립을 지켰으나, 실제로 미국 상인들은 프랑스와의 무역을 통해 돈을 벌고 있었다. 열 받은 영국 해군은 닥치는 대로 미국 배를 나포하고 물건을 빼앗는 등 미국의 프랑스에 대한 무역에 초강경한 조치를 취하자, 미국 내에서 다시 대영 전쟁 불사론이 일었다.
결국 미국은 1812년 7월 18일 3년에 걸친 미영전쟁에 들어갔다.
쉬운 승리를 내다봤던 미국은 고전했다. 1814년 나폴레옹이 몰락하면서, 영국이 미국과의 전쟁에 집중할 수 있게 되면서, 미국은 더욱 곤혹스러워졌다. 1814년 9월 14일 밤. 메릴랜드의 멕헨리 요새가 영국군에게 처참하게 짓밟혀, 요새 전체가 붉은 화염에 휩싸여 불타 결국 잿더미가 되었다. 하지만 유독 미국의 국기는 아침 햇살에 힘차게 펄럭이고 있었다.
이 모습을 앞바다에 떠 있던 배 위에서 지켜보고 있던 사나이가 있었는데, 그 이름 하여 프랜시스 스콧 키(Francis Scott Key). 그는 바람에 펄럭이는 미국기를 눈물을 흘리며 바라보다가 급히 수첩을 꺼내 한 수의 시를 적어 내려가기 시작했다. 미국의 국가, <The Star-spangled Banner(별들이 반짝이는 깃발)>이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The Star-Spagled Banner
Oh say can you see
by the dawn's early light
What so proudly we hail'd
at the twilight's last gleaming.
Whose broad stripes and brights stars
through the perelious fight
O'er the ramparts we watch'd
were so gallantly streaming!
And the rockets' red glare,
the bombs bursting in air,
Gave proof through the night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
Oh say does that star-spangled
banner yet wave
O'er the land of the free
and the home of the brave?
동이 트는 오늘 새벽에도
어젯밤 우리가 석양 빛 속에도
가슴깊이 환호하고 있던 깃발을
우리는 자랑스럽게 본다.
그 누구의 광활한 띠이며
빛나는 별들이기에
우리를 감싸는 성조기는
치열한 전투 중 우리가
사수한 성벽 위에서도
의연히 나부끼고 있었다.
붉게 타오르며 작렬하는 포화와
치열한 폭탄 속에서도
우리의 성조기가 우뚝 서 있음을
우리는 보았다.
오! 자유의 땅,
용감한 백성의 땅 위에
성조기는 지금도
휘날리고 있다.
미국 국가는 영국의 유행가(권주가)인 <천국의 아나크레온>에다가 가사만 바꿔 부르는 것이다. 대단히 아름다운 멜로디지만 부르기가 여간 까다로운 것이 아니라서, 국가를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미국의 국가는 그 웅장하고 아름다운 멜로디를 자랑한다. 물론 대단한 가수가 불렀을 때에만. 여기 휘트니 휴스턴과 머라이어 캐리의 음성으로 미국 국가를 들어 보자.
http://tvpot.daum.net/v/6MzddFolq7c%24
http://tvpot.daum.net/v/cVw07HfP97c%24
-
[인문학] [밑줄쫙-문화] 한(恨) : 한국과 아일랜드2015-04-16
-
[인문학] [밑줄쫙-문학] 내 인생의 겨울 연가 : 플랜더스의 개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침묵 : 아기의 침묵과 노인의 침묵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 행복의 쓰임 하나 : 언론의 폭력으로부터의 자유 및 관대함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역사] 역사 : 생물학의 한 조각2015-04-09
-
[인문학] 해방 후 3년 동안의 짧은 역사에 대한 소회2015-04-08
-
[인문학] [많이 나아진 문장 1] 함께읽기의 즐거움 : 신영복 교수의 경어체2015-04-07
-
[인문학] [밑줄쫙-문학] 기록하는 자 : 엄마의 가계부2015-04-06
-
[인문학] 김남일은 시인 신경림의 어린 시절 한 토막을 이렇게 아름다운 언어로 형상화했다.2015-04-06
-
[인문학] 앞에서 소개한 문장이 왜 안 좋은 문장인지 점점 깨닫기 시작하면서,저는 이런 문장을 쓰게 되었습니다. 뭔가 더 나아진 느낌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런 느낌을 받지 못하신다면, 제가 슬플 겁니다.2015-04-04
-
[인문학] 힘들겠지요. 잘 쓴 글을 보면서, 눈을 정화하세요. 그냥 두면 합병증 생깁니다.2015-04-04
-
[인문학] 뭔 소린지 저도 잘 모르겠네요. 지금 보면 어지러워질 뿐이에요. 문법구조가 틀리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복잡하게 써 보자고 작정한 문장 같네요. 우습네요.2015-04-04
-
[인문학] 왜 안 좋은 글인지 잘 설명해 줘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제가 지금 다시 이 테마로 글을 쓴다면? 죄송하지만, 이 테마로는 글을 쓰지 않을 겁니다. 제 능력을 넘어요.2015-04-04
-
[인문학] 한 15년 전에는, 제가 이런 글을 썼습니다. 지금 보니, 어떻게 이런 글을 썼는지 끔찍하네요. 여러분들은 이렇게 쓰면 안 됩니다. 안 좋은 글을 왜 올리냐고요? 유시민의 을 읽고 나니, 글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올렸습니다. 이렇게 쓰면 안 된다는!2015-04-03
-
[인문학] 베레비는 또 이렇게 말했죠. "인간은 서로 비슷한 사람들과 한패가 되는 게 아니라, 한패가 되고 나서 비슷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정곡을 찌르는 말 아닌가요?2015-04-01
-
[인문학] 가 보지도 들어 보지도 못한 교회 사진을 이렇게 올리며 갈릴레오의 참회성사를 여러분들께 소개할 수 있는 인터넷이라는 존재가 은혜라면 은혜겠다는 생각이 듭니다.2015-03-27
댓글목록2
럭키라이팅님의 댓글
아온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