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황무지: T.S. 엘리엇 (제 8 연) -- III. 불의 설교

본문
3. 불의 설교
찟겨진 강의 장막: 이파리의 남은 손가락들이
움켜쥐고 파고드는 젖은 강둑. 바람은
듣는 이 없는 갈색의 대지를 지난다. 요정들은 떠났네.
사랑하는 템즈여 고요히 흘러다오. 내 노래 소리 그칠 때까지
강엔 아무것도 없어라. 빈병,샌드위치 포장,
비단 손수건,종이 상자, 담배 꽁초
사라진 여름밤의 흔적들. 요정들은 떠났네
그 친구들,빈둥대는 시내 유지의 자식들;
떠났네. 주소조차 남기질 않고.
레만 호숫가에 앉아 울었노라...
사랑하는 템즈여, 고요히 흘러다오. 내 노래를 마칠 때까지.
사랑하는 템즈여, 고요히 흘러다오.크지도 길지도 않게 읊조리니.
그러나 등 뒤의 차가운 센바람 속에서 들려오는
뼈를 덜그럭거리는 소리, 낄낄 웃는 소리.
III. THE FIRE SERMON
The river’s tent is broken: the last fingers of leaf
Clutch and sink into the wet bank. The wind
Crosses the brown land, unheard. The nymphs are departed.
Sweet Thames, run softly, till I end my song.
The river bears no empty bottles, sandwich papers,
Silk handkerchiefs, cardboard boxes, cigarette ends
Or other testimony of summer nights. The nymphs are departed.
And their friends, the loitering heirs of city directors;
Departed, have left no addresses.
By the waters of Leman I sat down and wept...
Sweet Thames, run softly till I end my song,
Sweet Thames, run softly, for I speak not loud or long
But at my back in a cold blast I hear
The rattle of the bones, and chuckle spread from ear to ear
-
[마루밑다락방의 서고] 초승에 뜨는 달은 ‘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 ‘초생(初生)’과 ‘달’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마치 ‘폐렴(肺炎), 가난(艱難)’ 등과도 같은 경우이다.2015-05-25
-
[인문학] 아일랜드... 예이츠의 고향. 가장 늦게 도달한 기독교(카톨릭)에 가장 심취하였고 중세 수도원 운동이 크게 부흥하여 역으로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곳... 중국보다 성리학에 더 미쳤던 한국..자본주의의 실험재료가 되어, 자국의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은 굶어죽는데도 영국으로 식량을 수출해야 했던 나라. 맬더스 인구론의 근거가 됐었고..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분단의 아픔을 격고 있는 나라.. 참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입니다.2015-04-16
-
[인문학] 러셀... 현대의 소크라테스...2015-04-15
-
[인문학]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대가를 치른 후였다.-------------전이겠지요.2015-04-09
-
[인문학] 신영복 교수... 진정 겸손한 글을 쓰는 분이지요.소외 당한 자, 시대의 약자들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이고. 그들을 대변 또는 위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지요.2015-04-08
-
[인문학] 좋군요....2015-04-07
댓글목록1
바다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