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황무지: T.S. 엘리엇 (제 9 연) -- III. 불의 설교

본문
수풀 사이로 살금 살금 기어가던 쥐 한 마리,
강둑에 끌리던 그 끈적끈적한 배
수로에서의 따분한 낚시질
가스 공장 뒤편에서 보낸 어느 겨울날, 저녁 내내
묵상에 잠겨있었다. 몰락한 왕, 나의 형과
돌아가신 아버지, 선왕.
낮은 습지에 발가벗겨진 하얀 몸뚱이들과
작고, 낮고, 건조한 다락방에 버려진 뼈들
해마다 쥐의 발길에나 채이는 달그락 소리
그러나 내 등 뒤로 가끔씩 들려오는
경적 소리, 엔진 소리. 데려가리라
스위니를 포터여사의 샘터로
아,달빛에 환히 빛나는 포터여사와
그녀의 딸.
그녀들은 소다수로 발을 닦네
오,둥근 지붕 아래서 노래하는, 아이들의 목소리여!
트윗, 트윗, 트윗
짹 짹 짹 짹 짹 짹
그리도 난폭하게 욕보였더냐
테레우여.
A rat crept softly through the vegetation
Dragging its slimy belly on the bank
While I was fishing in the dull canal
On a winter evening round behind the gashouse.
Musing upon the king my brother’s wreck
And on the king my father’s death before him.
White bodies naked on the low damp ground
And bones cast in a little low dry garret,
Rattled by the rat’s foot only,year to year.
But at my back from time to time I hear
The sound of horns and motors, which shall bring
Sweeney to Mrs. Porter in the spring
O the moon shone bright on Mrs. Porter
And on her daughter
They wash their feet in soda water
Et, O ces voix d’enfants, chantant dans la coupole!
Twit twit twit
Jug jug jug jug jug jug
So rudely forc’d.
Tereu
-
[마루밑다락방의 서고] 초승에 뜨는 달은 ‘초승달’이 옳다. 물론 이 단어는 ‘초생(初生)’과 ‘달’이 합성한 경우이나, 어원에서 멀어져 굳어진 경우 관용에 따라 쓴다는 원칙에 따라, ‘초승달’이 올바른 표현이다. 마치 ‘폐렴(肺炎), 가난(艱難)’ 등과도 같은 경우이다.2015-05-25
-
[인문학] 아일랜드... 예이츠의 고향. 가장 늦게 도달한 기독교(카톨릭)에 가장 심취하였고 중세 수도원 운동이 크게 부흥하여 역으로 대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곳... 중국보다 성리학에 더 미쳤던 한국..자본주의의 실험재료가 되어, 자국의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은 굶어죽는데도 영국으로 식량을 수출해야 했던 나라. 맬더스 인구론의 근거가 됐었고..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분단의 아픔을 격고 있는 나라.. 참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나라입니다.2015-04-16
-
[인문학] 러셀... 현대의 소크라테스...2015-04-15
-
[인문학] 비극적이고 치명적인 대가를 치른 후였다.-------------전이겠지요.2015-04-09
-
[인문학] 신영복 교수... 진정 겸손한 글을 쓰는 분이지요.소외 당한 자, 시대의 약자들에 대한 이해가 깊은 분이고. 그들을 대변 또는 위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작가들 중의 하나이지요.2015-04-08
-
[인문학] 좋군요....2015-04-07
댓글목록2
바다님의 댓글
아온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