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현대철학자들 3] : 소쉬르 (2)
본문
(2) 소쉬르의 혁명과 구조주의
소쉬르는 <일반언어학강의>를 가지고, 후설과 프로이트와 마찬가지로 데카르트를 흔들어 버린 언어학자이다. 후설은 수학자 출신 철학자, 프로이트는 정신과 의사, 소쉬르는 언어학자이다. 결국 근대 철학의 시조인 데카르트를 뒤흔들어 버린 Big3 중 철학자인 사람은 후설뿐이다. 뭐 언제나 그렇듯, 다른 시각에서 봐야, 제대로 보는 법이다.
소쉬르는 생전에 <일반언어학강의>를 출간하지 못하고 죽었다. 그의 뛰어난 제자들이 강의 노트를 바탕으로 출간한 것이다. 제자들이 대견하지 않은가? 각설하고 소쉬르의 <일반언어학강의>가 1916년 출간되자, 서양 지성계는 난리가 났다. 왜? 새로운 언어학 책이 나와서? 네버 엑스. 바로 주체가 소멸해 버려서. 주체가 뭔데? 앞에서 몇 번이나 말했다. 데카르트가 말하는 ‘나’, 혹은 ‘나의 의식’이다.
본격적인 학문으로서의 언어학은 소쉬르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런데 학문이 성립하려면, 학문이 연구하는 대상이 있어야 한다. 문제는 소쉬르가 도대체 무엇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했는가이다. 먼저 답을 말하자면, 바로 ‘랑그’를 언어학의 연구 대상으로 설정했다. 그럼 그 이전 언어 연구자들은 뭘 연구 대상으로 봤는데? 바로 소쉬르가 얘기하는 ‘빠롤’이다.
* 랑그(Langue)는 주로 ‘언어’라고 번역된다. 언어가 곧 랑그인 것이다. 물론 이 때 ‘언어’는 일반적인 언어가 아니라 학술어로서의 언어이다. 그리고 빠롤(Parole)은 주로 ‘화언’, ‘발화’, ‘발언’이라고 번역된다.
한 식당에서 한국 손님이 ‘김치’ 좀 달라고 했다. 종업원은 당근 알아먹는다. 옆에 일본 손님이 ‘기무치’ 좀 달라고 했다. 종업원이 역시 알아먹는다. 그 옆에 미국 손님이 ‘킴취’ 좀 달라고 했다. 종업원이 또 역시 알아먹는다. 이 때 ‘김치’, ‘기무치’, ‘킴취’는 ‘빠롤’이다. 이 세 빠롤은 모두 다르지만 종업원은 알아먹었다. 왜? 이 세 빠롤이 의미하는 그 무엇, 즉 ‘랑그’를 알아먹었기 때문에.
* 물론 내가 감기가 들어서 코맹맹이 소리로 ‘김칭’ 좀 달라고 해도, 실연당해서 우울한 목소리로 ‘김치’라고 발언해도, 로또 당첨돼서 들뜬 목소리로 ‘김치’라고 발언해도, 종업원은 다 알아먹는다. 빠롤은 이렇게 같은 사람도 절대로 똑같이 말할 수 없는 그런 것이다.
한 언어에서 빠롤(구체적 ‘발화’)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랑그(추상적 ‘언어’)는 같다. ‘랑그’는 모든 언중(言衆:같은 언어 사용자)들이 함께 인식하고 있다. 이 언어 규칙이 없다면 그 사회에서 언어가 소통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장기를 두는데 말이 부족한 경우, 돌이나 바둑알이나 주사위 같은 것으로 대신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장기 두는 데 아무 이상이 없다. 왜? 장기 게임의 규칙이 같기 때문에.
* 이 때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빠롤이 현상이고 랑그가 본질일지라도 빠롤을 우습게 보면 안 된다. 본질이 없는 현상이 없듯이, 본질은 오직 현상을 통해서만 본질일 수 있다. 장기 게임 규칙을 알고 있다 해도 장기 말이 없으면, 장기를 둘 수 없다.
* A가 B보다 중요하다. A가 B보다 다수(多數)이다. A가 B보다 본질적이다. A가 B보다 선행한다. A가 B를 계몽한다. A는 가능한데 B는 불가능하다. A에는 있는데 B에는 없다. 이런 말을 할 때 B를 멸시하는 태도를 갖지 말아야 한다. 세상엔 중요하지 않은 것도 존재할 가치가 있고, 소수(少數)도 존경받을 자격이 있으며, 현상도 본질 못지않게 필요하고, 앞에 가는 것이 우월한 것이 아니며, B가 어떤 면에서 가능하지 않은 것은 다른 면에서 가능하기 때문이고, B에 없는 이유는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난 영화 <오아시스>에서 이 대목, 이 대사에서 충격 먹었다. 종두(설경구 분)가 공주(문소리 분)를 강간한 것으로 오인 받아 경찰서에 끌려가 취조 받을 때, 경찰의 대사. “솔직히 말해, 너 변태지? 야 임마, 저런 여자 앞에서 그게 서냐?”
-
[인문학] [밑줄쫙-문화] 한(恨) : 한국과 아일랜드2015-04-16
-
[인문학] [밑줄쫙-문학] 내 인생의 겨울 연가 : 플랜더스의 개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침묵 : 아기의 침묵과 노인의 침묵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 행복의 쓰임 하나 : 언론의 폭력으로부터의 자유 및 관대함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역사] 역사 : 생물학의 한 조각2015-04-09
-
[인문학] 해방 후 3년 동안의 짧은 역사에 대한 소회2015-04-08
-
[인문학] [많이 나아진 문장 1] 함께읽기의 즐거움 : 신영복 교수의 경어체2015-04-07
-
[인문학] [밑줄쫙-문학] 기록하는 자 : 엄마의 가계부2015-04-06
-
[인문학] 김남일은 시인 신경림의 어린 시절 한 토막을 이렇게 아름다운 언어로 형상화했다.2015-04-06
-
[인문학] 앞에서 소개한 문장이 왜 안 좋은 문장인지 점점 깨닫기 시작하면서,저는 이런 문장을 쓰게 되었습니다. 뭔가 더 나아진 느낌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런 느낌을 받지 못하신다면, 제가 슬플 겁니다.2015-04-04
-
[인문학] 힘들겠지요. 잘 쓴 글을 보면서, 눈을 정화하세요. 그냥 두면 합병증 생깁니다.2015-04-04
-
[인문학] 뭔 소린지 저도 잘 모르겠네요. 지금 보면 어지러워질 뿐이에요. 문법구조가 틀리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복잡하게 써 보자고 작정한 문장 같네요. 우습네요.2015-04-04
-
[인문학] 왜 안 좋은 글인지 잘 설명해 줘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제가 지금 다시 이 테마로 글을 쓴다면? 죄송하지만, 이 테마로는 글을 쓰지 않을 겁니다. 제 능력을 넘어요.2015-04-04
-
[인문학] 한 15년 전에는, 제가 이런 글을 썼습니다. 지금 보니, 어떻게 이런 글을 썼는지 끔찍하네요. 여러분들은 이렇게 쓰면 안 됩니다. 안 좋은 글을 왜 올리냐고요? 유시민의 을 읽고 나니, 글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올렸습니다. 이렇게 쓰면 안 된다는!2015-04-03
-
[인문학] 베레비는 또 이렇게 말했죠. "인간은 서로 비슷한 사람들과 한패가 되는 게 아니라, 한패가 되고 나서 비슷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정곡을 찌르는 말 아닌가요?2015-04-01
-
[인문학] 가 보지도 들어 보지도 못한 교회 사진을 이렇게 올리며 갈릴레오의 참회성사를 여러분들께 소개할 수 있는 인터넷이라는 존재가 은혜라면 은혜겠다는 생각이 듭니다.2015-03-27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