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현대철학자들 3] : 소쉬르 (3)

본문
장기 게임 규칙이 바로 ‘랑그’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장기 게임 규칙과 ‘랑그’는 적당한 비유 대상이긴 하지만, ‘랑그’를 제대로 설명해 주진 못한다. 왜? 장기의 경우 게임 규칙을 장기 두는 사람들이 명시적으로 알고 있다. 또 장기 두는 사람들이 규칙을 쉽게 바꿀 수 있다. 포를 떼고 둔다든지, 차를 떼고 둔다든지 등등으로 말이다. 하지만 ‘랑그’의 경우는 아주 다르다.
랑그, 즉 언어 규칙은 매우 추상적이어서, 그 어떤 대단한 언어학자라도 명시적으로 제시하기 힘들다. 또한 언중들이 모두 모여, 우리나라의 경우는 수천 만 명이 모두 모여, “자, 이렇게 규칙을 바꿉시다” 하고 ‘랑그’를, 즉 ‘언어 규칙’을 일거에 바꿀 수 없다. 즉 언어(랑그) 사용의 주체인 우리들이 대상인 언어(랑그)를 좌지우지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 까라면 까야 하는 존재로 전락하는 것이다.
언어(랑그)는 개인에 의해 좌우되는 게 아니라 사회적으로 약속된 규칙의 체계이다. 개인들이 말을 하기 위해서는 그 규칙에 따라야 하고, 그 규칙의 체계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의미는 개인이 만들어내는 게 아니라 언어(랑그)의 체계 안에서 언어(랑그)에 따라 만들어지는 것이며, 개인들은 그 규칙에 따라 수동적으로 의미를 말하고 또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판단’도 언어(랑그)의 구조 속에 있는 것이며, 개인들은 그것을 가져다 쓸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사고나 판단은 개개의 주체가 하는 게 아니라 언어(랑그)의 의미체계(구조) 속에 있는 것이며, 개인들은 그것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한다. 결국 의미나 판단 혹은 사고가 ‘주체’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언어구조에 내장되어 있고, ‘주체’들이 사고하고 판단하기 위해선 이 언어구조에 따라야 한다.
이쯤 되면 우리는 언어를 통해 의미나 사고, 판단을 객관화하는 것이다. 그 결과 ‘주체’는 더 이상 자기가 말하고 받아들이는 행위의 중심이 아닌 게 되며, 그 중심은 오히려 주체 외부에 있는 언어라는 객관적 구조에 있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이래서 소쉬르는, 그 자신은 구조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주의의 창시자라 불린다.
* 구조주의는 현대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사상조류(-ism)’이다. 위에서 랑그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빠롤도 중요하다는 얘기를 한 적 있다. 구조주의는 현대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사상조류이긴 하지만 무척 많은 비판을 받게 된다. 왜? 랑그, 즉 본질을 빠롤, 즉 현상보다 우월하게 보았기 때문에.
생각해 보자. 후설은 ‘사물’을 ‘의식 안의 현상’으로 끌어들여 데카르트를 흔들었다. 다음 프로이트는 우리가 아는 의식은 진짜 의식의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데카르트를 더 많이 흔들었다. 이제 소쉬르는 ‘주체’ 자체가 없다고 해서, 아예 데카르트를 무덤에서 꺼내 참수해 버린 것이다. 데카르트가 그토록 자랑하던 ‘주체’, 세상을 명쾌하게 판명할 수 있는 능력의 존재인 ‘주체’는 이제 없는 것이 됐다.
중요한 점 하나 지적하고 글을 마치겠다. 소쉬르에 의하면 기호(랑그라고 해도 무방하지만 이해하기에는 기호가 낫다)의 ‘가치’는 ‘차이’에 의해 정해진다. 즉 기호의 ‘고유한 가치’는 없고 다른 기호들과의 차이에 의해서만 ‘관계적 가치’를 갖게 된다는 말이다. 결국 우리는 기호를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가치’를 주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셈이다.
예를 들어 개만 알고 있다가 늑대를 알게 되면 개와 늑대의 생물학적 차이에 의해 상호 의미가 정해진다. 만약 차이가 없다면 두 기호가 필요 없다. 다시 시라소니가 나타나면, 개, 늑대, 시라소니, 이 세 동물의 생물학적 차이에 의해 세 기호가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다. 만약 차이가 없었다면 시라소니라는 기호는 생기지 않고 개나 늑대 속에 포함돼 버렸을 것이다.
재미있는 건 그 차이가 나라나 종족마다 매우 다르다는 점이다. 어떤 ‘이누이트 족(흔히 ‘에스키모 족’이라 부르는데, 이는 잘못)’은 눈(雪)의 종류가 수십 가지나 된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함박눈, 싸리눈, 진눈깨비, 뭐 이렇게 몇 개밖에 없지 않은가? 차이를 인정할지 말지의 기준이 다른 것이다. 그러나 명심하자. 차이를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개개인의 주체의 소관인 것 같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마이카 붐이 일기 전, ‘열쇠’는 모든 자물쇠를 여는 도구의 의미를 가졌다. 그런데 자동차 열쇠의 경우는 ‘키’로 점차 대체되었다. 그래서 자동차 열쇠는 ‘키’, 아파트나 금고 열쇠는 ‘열쇠’, 이런 차이가 있었다. 그런데, 요즘은 아파트 ‘열쇠’도 아파트 ‘키’라고 하는 것 같다. 그러나 난 이러한 변화 과정에 전혀 참여했다는 느낌을 받지 못한다. 결국 나는 ‘언어 체계’의 주체가 아닌 것이다.
-
[인문학] [밑줄쫙-문화] 한(恨) : 한국과 아일랜드2015-04-16
-
[인문학] [밑줄쫙-문학] 내 인생의 겨울 연가 : 플랜더스의 개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침묵 : 아기의 침묵과 노인의 침묵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 행복의 쓰임 하나 : 언론의 폭력으로부터의 자유 및 관대함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역사] 역사 : 생물학의 한 조각2015-04-09
-
[인문학] 해방 후 3년 동안의 짧은 역사에 대한 소회2015-04-08
-
[인문학] [많이 나아진 문장 1] 함께읽기의 즐거움 : 신영복 교수의 경어체2015-04-07
-
[인문학] [밑줄쫙-문학] 기록하는 자 : 엄마의 가계부2015-04-06
댓글목록1
아온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