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현대철학자들 3] : 소쉬르 (3)
본문
장기 게임 규칙이 바로 ‘랑그’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장기 게임 규칙과 ‘랑그’는 적당한 비유 대상이긴 하지만, ‘랑그’를 제대로 설명해 주진 못한다. 왜? 장기의 경우 게임 규칙을 장기 두는 사람들이 명시적으로 알고 있다. 또 장기 두는 사람들이 규칙을 쉽게 바꿀 수 있다. 포를 떼고 둔다든지, 차를 떼고 둔다든지 등등으로 말이다. 하지만 ‘랑그’의 경우는 아주 다르다.
랑그, 즉 언어 규칙은 매우 추상적이어서, 그 어떤 대단한 언어학자라도 명시적으로 제시하기 힘들다. 또한 언중들이 모두 모여, 우리나라의 경우는 수천 만 명이 모두 모여, “자, 이렇게 규칙을 바꿉시다” 하고 ‘랑그’를, 즉 ‘언어 규칙’을 일거에 바꿀 수 없다. 즉 언어(랑그) 사용의 주체인 우리들이 대상인 언어(랑그)를 좌지우지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 까라면 까야 하는 존재로 전락하는 것이다.
언어(랑그)는 개인에 의해 좌우되는 게 아니라 사회적으로 약속된 규칙의 체계이다. 개인들이 말을 하기 위해서는 그 규칙에 따라야 하고, 그 규칙의 체계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의미는 개인이 만들어내는 게 아니라 언어(랑그)의 체계 안에서 언어(랑그)에 따라 만들어지는 것이며, 개인들은 그 규칙에 따라 수동적으로 의미를 말하고 또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판단’도 언어(랑그)의 구조 속에 있는 것이며, 개인들은 그것을 가져다 쓸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사고나 판단은 개개의 주체가 하는 게 아니라 언어(랑그)의 의미체계(구조) 속에 있는 것이며, 개인들은 그것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한다. 결국 의미나 판단 혹은 사고가 ‘주체’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언어구조에 내장되어 있고, ‘주체’들이 사고하고 판단하기 위해선 이 언어구조에 따라야 한다.
이쯤 되면 우리는 언어를 통해 의미나 사고, 판단을 객관화하는 것이다. 그 결과 ‘주체’는 더 이상 자기가 말하고 받아들이는 행위의 중심이 아닌 게 되며, 그 중심은 오히려 주체 외부에 있는 언어라는 객관적 구조에 있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이래서 소쉬르는, 그 자신은 구조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구조주의의 창시자라 불린다.
* 구조주의는 현대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사상조류(-ism)’이다. 위에서 랑그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빠롤도 중요하다는 얘기를 한 적 있다. 구조주의는 현대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사상조류이긴 하지만 무척 많은 비판을 받게 된다. 왜? 랑그, 즉 본질을 빠롤, 즉 현상보다 우월하게 보았기 때문에.
생각해 보자. 후설은 ‘사물’을 ‘의식 안의 현상’으로 끌어들여 데카르트를 흔들었다. 다음 프로이트는 우리가 아는 의식은 진짜 의식의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데카르트를 더 많이 흔들었다. 이제 소쉬르는 ‘주체’ 자체가 없다고 해서, 아예 데카르트를 무덤에서 꺼내 참수해 버린 것이다. 데카르트가 그토록 자랑하던 ‘주체’, 세상을 명쾌하게 판명할 수 있는 능력의 존재인 ‘주체’는 이제 없는 것이 됐다.
중요한 점 하나 지적하고 글을 마치겠다. 소쉬르에 의하면 기호(랑그라고 해도 무방하지만 이해하기에는 기호가 낫다)의 ‘가치’는 ‘차이’에 의해 정해진다. 즉 기호의 ‘고유한 가치’는 없고 다른 기호들과의 차이에 의해서만 ‘관계적 가치’를 갖게 된다는 말이다. 결국 우리는 기호를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가치’를 주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셈이다.
예를 들어 개만 알고 있다가 늑대를 알게 되면 개와 늑대의 생물학적 차이에 의해 상호 의미가 정해진다. 만약 차이가 없다면 두 기호가 필요 없다. 다시 시라소니가 나타나면, 개, 늑대, 시라소니, 이 세 동물의 생물학적 차이에 의해 세 기호가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다. 만약 차이가 없었다면 시라소니라는 기호는 생기지 않고 개나 늑대 속에 포함돼 버렸을 것이다.
재미있는 건 그 차이가 나라나 종족마다 매우 다르다는 점이다. 어떤 ‘이누이트 족(흔히 ‘에스키모 족’이라 부르는데, 이는 잘못)’은 눈(雪)의 종류가 수십 가지나 된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함박눈, 싸리눈, 진눈깨비, 뭐 이렇게 몇 개밖에 없지 않은가? 차이를 인정할지 말지의 기준이 다른 것이다. 그러나 명심하자. 차이를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개개인의 주체의 소관인 것 같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마이카 붐이 일기 전, ‘열쇠’는 모든 자물쇠를 여는 도구의 의미를 가졌다. 그런데 자동차 열쇠의 경우는 ‘키’로 점차 대체되었다. 그래서 자동차 열쇠는 ‘키’, 아파트나 금고 열쇠는 ‘열쇠’, 이런 차이가 있었다. 그런데, 요즘은 아파트 ‘열쇠’도 아파트 ‘키’라고 하는 것 같다. 그러나 난 이러한 변화 과정에 전혀 참여했다는 느낌을 받지 못한다. 결국 나는 ‘언어 체계’의 주체가 아닌 것이다.
-
[인문학] [밑줄쫙-문화] 한(恨) : 한국과 아일랜드2015-04-16
-
[인문학] [밑줄쫙-문학] 내 인생의 겨울 연가 : 플랜더스의 개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침묵 : 아기의 침묵과 노인의 침묵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 행복의 쓰임 하나 : 언론의 폭력으로부터의 자유 및 관대함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역사] 역사 : 생물학의 한 조각2015-04-09
-
[인문학] 해방 후 3년 동안의 짧은 역사에 대한 소회2015-04-08
-
[인문학] [많이 나아진 문장 1] 함께읽기의 즐거움 : 신영복 교수의 경어체2015-04-07
-
[인문학] [밑줄쫙-문학] 기록하는 자 : 엄마의 가계부2015-04-06
-
[인문학] 김남일은 시인 신경림의 어린 시절 한 토막을 이렇게 아름다운 언어로 형상화했다.2015-04-06
-
[인문학] 앞에서 소개한 문장이 왜 안 좋은 문장인지 점점 깨닫기 시작하면서,저는 이런 문장을 쓰게 되었습니다. 뭔가 더 나아진 느낌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런 느낌을 받지 못하신다면, 제가 슬플 겁니다.2015-04-04
-
[인문학] 힘들겠지요. 잘 쓴 글을 보면서, 눈을 정화하세요. 그냥 두면 합병증 생깁니다.2015-04-04
-
[인문학] 뭔 소린지 저도 잘 모르겠네요. 지금 보면 어지러워질 뿐이에요. 문법구조가 틀리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복잡하게 써 보자고 작정한 문장 같네요. 우습네요.2015-04-04
-
[인문학] 왜 안 좋은 글인지 잘 설명해 줘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제가 지금 다시 이 테마로 글을 쓴다면? 죄송하지만, 이 테마로는 글을 쓰지 않을 겁니다. 제 능력을 넘어요.2015-04-04
-
[인문학] 한 15년 전에는, 제가 이런 글을 썼습니다. 지금 보니, 어떻게 이런 글을 썼는지 끔찍하네요. 여러분들은 이렇게 쓰면 안 됩니다. 안 좋은 글을 왜 올리냐고요? 유시민의 을 읽고 나니, 글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올렸습니다. 이렇게 쓰면 안 된다는!2015-04-03
-
[인문학] 베레비는 또 이렇게 말했죠. "인간은 서로 비슷한 사람들과 한패가 되는 게 아니라, 한패가 되고 나서 비슷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정곡을 찌르는 말 아닌가요?2015-04-01
-
[인문학] 가 보지도 들어 보지도 못한 교회 사진을 이렇게 올리며 갈릴레오의 참회성사를 여러분들께 소개할 수 있는 인터넷이라는 존재가 은혜라면 은혜겠다는 생각이 듭니다.2015-03-27
댓글목록1
아온님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