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만남은 이해하고 발전하는 것이다 : <집으로> (3)
본문
마중 나온 외할머니는 상우의 눈물을 닦아주며 서울에서 온 엄마의 편지를 건넨다. 내일 상우를 데리러 오겠다는 엄마의 편지다. 어린 가슴에 외할머니를, 그리고 외할머니의 마음을 깊이깊이 받아들인 상우는 이제 앞으로 자신이 서울로 떠나고 나서 다시 혼자 지내게 될 외할머니가 걱정이다.
“(스케치북에 글씨를 가리키며) 자, 잘 봐. 다시, 이건 아프다. 요건 보고 싶다. 써 봐. 다시. 에이, 참. 그것도 하나 못 해? 할머니 말 못 하니까 전화도 못 하는데 편지도 못 쓰면 어떡해……. 할머니, 많이 아프면 그냥 아무것도 쓰지 말고 보내. 그럼 상우가 할머니가 보낸 줄 알고 금방 달려올게. 응? 알았지?”
말 못하는 외할머니를 위해 상우는 한글을 가르쳐 주려 하지만 외할머니는 쉽게 익히지 못한다. 안타까운 마음에 상우는 그저 하염없이 눈물을 흘린다. 상우가 우는 것을 보고 외할머니도 운다. 그렇다. 가족은 서로를 생각하며 우는 사람들인 것이다.
이윽고 외할머니는 잠들고, 상우는 여러 개의 바늘귀에 실을 꿰어 반짇고리 실타래에 꽂아 둔다. 눈이 어두운 외할머니를 생각하는 마음이 갸륵하다. 창호지를 바른 띠살문에 은은한 백열등 빛이 비치고, 외할머니와 상우, 이 두 아름다운 사람들의 동거가 끝나가고 있다. 툇마루 밑 섬돌 위에 나란히 놓인 상우의 운동화와 외할머니의 고무신이 달빛 아래 정겹다.
백열등이 꺼진다. 하지만 얼마 후 백열등은 다시 켜진다. 차마 잠을 이루지 못하는 상우는 크레파스를 꺼내 자신이 가장 아끼는 로봇 엽서에 무언가를 그린다. 풀벌레들도 아쉬운 듯 울어대는데, 상우와 외할머니의 마지막 밤은 깊어만 간다.
[http://youtu.be/C3Q_Czfrye8]
다음 날 떠나는 버스 앞에서, 상우는 외할머니에게 그 로봇 엽서를 내민다. 엽서의 로봇 그림 반대쪽 면에 보내는 사람(외할머니)과 받는 사람(상우)의 이름, 그리고 주소(상우의 주소)가 적혀 있다. 그리고 아프다는 내용과 보고 싶다는 내용을 상우가 그림으로 표현해 놓았다. 상우가 외할머니를 위해 간밤에 준비한 마음의 선물이다.
버스가 떠나고 상우는 외할머니를 향해 가슴을 동그랗게 쓸어내린다. 그것은 미안하고 감사하다는 의미이며 동시에 할머니의 깊은 마음을 이제는 이해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외할머니의 고귀한 영혼의 언어를 배운 상우. 상우를 태운 버스가 시야에서 벗어날 때까지 응시하는 외할머니.
영화 <집으로>는 이렇듯 아름답고 훈훈한 화해의 장면으로 막을 내린다.
♣
비 온 후 땅이 더욱 굳는다 했다. 오해가 풀리고, 미지의 인물에 대한 비호감이 호감으로 바뀐 다음, 우리는 인격적으로 발전한다. 그릇된 판단과 무지 때문에 상대방을 이해하지 못하는 일만큼 인격의 성숙을 방해하는 것도 없기 때문이다.
외할머니와의 첫 대면에서 내뱉었던 상우의 원색적인 욕, ‘병신’은 실은, 그릇된 판단과 무지에 사로잡힌 우리들의 일상적인 언어다. 실제로 입으로 내뱉든 속으로 생각하든 우리들은 시시각각으로 그 누군가에게 ‘병신’이라고 욕하며 살고, 그 욕이 쌓이는 만큼 인격의 키는 작아진다.
우리는 ‘우리와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 얼마나 적대적인가? 그들이 우리와 어떻게, 그리고 왜 다른가에 대해서 얼마나 무관심한가? 얼마나 많은 상우들이 지금도 타인을 향해 ‘병신’이라고 말하며 화해의 손길을 외면하는가?
진정한 만남은 사랑의 행위라기보다는 이해의 행위이다. 그리고 어쭙잖은 사랑은 하찮은 이유에 의해서도 붕괴될 수 있지만, 이해는 뜨거운 사랑의 불꽃이 타고 남은 감정의 재에서 느껴지는 훈김과도 같이 지속적이다. 따라서 진정한 만남은, 즉 이해의 행위로서의 만남은 인격의 성장을 동반한다. 불꽃을 견디는 힘겨운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상우가 외할머니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버리고, 진실로 이해하는 과정은 그저 사이좋게 지내게 되는 소극적인 미덕에 그치지 않는다. 서울로 돌아온 상우는 외할머니와의 짧지만 값진 만남의 시간들을 영원히 잊지 못할 것이다. 보잘것없어 보이는 벙어리 외할머니가 ‘천사’나 ‘요정’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으로 기억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외할머니를 둔 자신이 얼마나 행운아인지 깨달은 의젓한 어린이가 되어, 외할머니의 엽서를 기다리게 될 것이다.
-
[인문학] [밑줄쫙-문화] 한(恨) : 한국과 아일랜드2015-04-16
-
[인문학] [밑줄쫙-문학] 내 인생의 겨울 연가 : 플랜더스의 개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침묵 : 아기의 침묵과 노인의 침묵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 행복의 쓰임 하나 : 언론의 폭력으로부터의 자유 및 관대함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역사] 역사 : 생물학의 한 조각2015-04-09
-
[인문학] 해방 후 3년 동안의 짧은 역사에 대한 소회2015-04-08
-
[인문학] [많이 나아진 문장 1] 함께읽기의 즐거움 : 신영복 교수의 경어체2015-04-07
-
[인문학] [밑줄쫙-문학] 기록하는 자 : 엄마의 가계부2015-04-06
-
[인문학] 김남일은 시인 신경림의 어린 시절 한 토막을 이렇게 아름다운 언어로 형상화했다.2015-04-06
-
[인문학] 앞에서 소개한 문장이 왜 안 좋은 문장인지 점점 깨닫기 시작하면서,저는 이런 문장을 쓰게 되었습니다. 뭔가 더 나아진 느낌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런 느낌을 받지 못하신다면, 제가 슬플 겁니다.2015-04-04
-
[인문학] 힘들겠지요. 잘 쓴 글을 보면서, 눈을 정화하세요. 그냥 두면 합병증 생깁니다.2015-04-04
-
[인문학] 뭔 소린지 저도 잘 모르겠네요. 지금 보면 어지러워질 뿐이에요. 문법구조가 틀리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복잡하게 써 보자고 작정한 문장 같네요. 우습네요.2015-04-04
-
[인문학] 왜 안 좋은 글인지 잘 설명해 줘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제가 지금 다시 이 테마로 글을 쓴다면? 죄송하지만, 이 테마로는 글을 쓰지 않을 겁니다. 제 능력을 넘어요.2015-04-04
-
[인문학] 한 15년 전에는, 제가 이런 글을 썼습니다. 지금 보니, 어떻게 이런 글을 썼는지 끔찍하네요. 여러분들은 이렇게 쓰면 안 됩니다. 안 좋은 글을 왜 올리냐고요? 유시민의 을 읽고 나니, 글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올렸습니다. 이렇게 쓰면 안 된다는!2015-04-03
-
[인문학] 베레비는 또 이렇게 말했죠. "인간은 서로 비슷한 사람들과 한패가 되는 게 아니라, 한패가 되고 나서 비슷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정곡을 찌르는 말 아닌가요?2015-04-01
-
[인문학] 가 보지도 들어 보지도 못한 교회 사진을 이렇게 올리며 갈릴레오의 참회성사를 여러분들께 소개할 수 있는 인터넷이라는 존재가 은혜라면 은혜겠다는 생각이 듭니다.2015-03-27
댓글목록2
아온님의 댓글
마루밑다락방님의 댓글
[http://hisking.com/skin/board/mw.basic/mw.emoticon/em11.gif]
[http://hisking.com/skin/board/mw.basic/mw.emoticon/em10.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