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서양근대사 9]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스페인 (3)

2014-12-04 11:10
9,049
1
2
본문

2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
[인문학] [밑줄쫙-문화] 한(恨) : 한국과 아일랜드2015-04-16
-
[인문학] [밑줄쫙-문학] 내 인생의 겨울 연가 : 플랜더스의 개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침묵 : 아기의 침묵과 노인의 침묵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 행복의 쓰임 하나 : 언론의 폭력으로부터의 자유 및 관대함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역사] 역사 : 생물학의 한 조각2015-04-09
-
[인문학] 해방 후 3년 동안의 짧은 역사에 대한 소회2015-04-08
-
[인문학] [많이 나아진 문장 1] 함께읽기의 즐거움 : 신영복 교수의 경어체2015-04-07
-
[인문학] [밑줄쫙-문학] 기록하는 자 : 엄마의 가계부2015-04-06
댓글목록1
아온님의 댓글
레콩기스타... 현재의 스페인을 만든 전환점이죠.
이 레콩기스타는 십자군 전쟁의 외도로 부터 비롯됩니다.
이슬람의 지배를 800년간 받던, 스페인의 기독교도들은 십자군 전쟁이 시작되고,
1차 십자군 전쟁의 성공을 보자. 교황에게 사기를 칩니다.
스페인도 성 야고보의 무덤이 있는 성지다.
여기도 탈환해 달라...그래서 2차인지 3차인지 예루살렘을 털러가는 길에
주력의 일부를 스페인으로 돌려 이슬람 세력을 때려잡았지요.
그 이후에도 교황은 물심양면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고...
그래서 이때를 계기로 이베리아 반도의 이슬람 세력이 물러나고 스페인이 생겨난 것입니다.
태생이 이러하니 스페인은 교황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수 밨에 없었고,
처음엔 교황의 하수인, 그 다음엔 보호자를 자처하게 되었고.
교황은 열심히 스페인의 세력을 키워준 것입니다.
야고보의 도시 산티아고가 스페인 식민지마다 있는 이유도 이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