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30년 전쟁 (2)

2015-01-01 11:21
8,840
1
0
본문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
[인문학] [밑줄쫙-문화] 한(恨) : 한국과 아일랜드2015-04-16
-
[인문학] [밑줄쫙-문학] 내 인생의 겨울 연가 : 플랜더스의 개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침묵 : 아기의 침묵과 노인의 침묵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 행복의 쓰임 하나 : 언론의 폭력으로부터의 자유 및 관대함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역사] 역사 : 생물학의 한 조각2015-04-09
-
[인문학] 해방 후 3년 동안의 짧은 역사에 대한 소회2015-04-08
-
[인문학] [많이 나아진 문장 1] 함께읽기의 즐거움 : 신영복 교수의 경어체2015-04-07
-
[인문학] [밑줄쫙-문학] 기록하는 자 : 엄마의 가계부2015-04-06
-
[인문학] 김남일은 시인 신경림의 어린 시절 한 토막을 이렇게 아름다운 언어로 형상화했다.2015-04-06
-
[인문학] 앞에서 소개한 문장이 왜 안 좋은 문장인지 점점 깨닫기 시작하면서,저는 이런 문장을 쓰게 되었습니다. 뭔가 더 나아진 느낌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런 느낌을 받지 못하신다면, 제가 슬플 겁니다.2015-04-04
-
[인문학] 힘들겠지요. 잘 쓴 글을 보면서, 눈을 정화하세요. 그냥 두면 합병증 생깁니다.2015-04-04
-
[인문학] 뭔 소린지 저도 잘 모르겠네요. 지금 보면 어지러워질 뿐이에요. 문법구조가 틀리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복잡하게 써 보자고 작정한 문장 같네요. 우습네요.2015-04-04
-
[인문학] 왜 안 좋은 글인지 잘 설명해 줘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제가 지금 다시 이 테마로 글을 쓴다면? 죄송하지만, 이 테마로는 글을 쓰지 않을 겁니다. 제 능력을 넘어요.2015-04-04
댓글목록1
아온님의 댓글
비로소 독일이라는 나라가 세계사에 나타나는 계기가 되지요...
프로이센 이전까지 독일은 나라가 아닌 그저 지역의 의미밖에는 없었지요.
고만 고만한 조폭들이 백성들 빨아먹고 사는...
신교의 등장은 백성들 특히 독일 지역의 백성들에게는 복음이었을 겁니다.
기존 권위에 의해 형성된 지옥같은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돌파구와 같은 것이었겠지요...
당연히 기득권 세력은 달갑지 않았을 것이고...
신교가 독일 지역에서 기승을 부리게 된 이유도 이것이었겠지요.
성경의 해석차이? 그건 명분에 불과할 뿐이고...
30년 전쟁이 이렇게 정신 없어진 것은
독일 지역에 대한 이권과...기존질서에 대한 반항이 어우러지면서
가닥을 잡기 힘들어진 것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