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좀 나아진 문장 5] 통치자=신
2015-04-04 11:37
5,341
1
0
본문
이집트 인들이 자신들의 왕을 신이라고 말했을 때 그건 무슨 의미였을까? 왕은 신의 이름을 가질 수 있었고, 신의 권능을 행사할 수 있었다. 따라서 파라오와 신들 사이에 정체성의 중복은 존재하지 않았다. 상식적으로 생각한다면 먼저 신들이 있고, 다음에 왕이 생겨났을 터인데, 왕이 곧 신이라는 아이디어에는 어떤 목적이 감춰져 있었을까?
통치자가 신이라는 주장은 통치자의 권력을 정당화하고 정적을 무력화시키는 요긴한 방법이었다. 어쩌면 신은 지배자들이 적대 세력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발명한 것일지도 모른다. 신의 존재는 어떠한 사람도 신이 될 수 없고, 어떠한 사람도 전지전능할 수 없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의 존재는 사람의 자기우상화에 분명한 한계를 설정한다는 놀라운 아이디어가 통치자에겐 필요했다. ‘초인’은 자기 혼자로 족해야 했다. 한편 신의 존재에 대한 의식 자체가 본래 자연으로부터 출발한 것인바 사람들은 한번 설정된 신은 해나 강이나 땅처럼 영원성을 가졌다고 믿는다. 그래서 그 어느 곳보다도 자연으로부터 축복받은 나라 이집트의 왕은 3,000년 동안 신일 수 있었다. 당시의 시간 관념으로 3,000년은 영원이었을 것이다. 사실 신권 통치는 과학적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됐을망정 현대에도 존재하는 것 같다.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
[인문학] [밑줄쫙-문화] 한(恨) : 한국과 아일랜드2015-04-16
-
[인문학] [밑줄쫙-문학] 내 인생의 겨울 연가 : 플랜더스의 개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침묵 : 아기의 침묵과 노인의 침묵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철학] : 행복의 쓰임 하나 : 언론의 폭력으로부터의 자유 및 관대함2015-04-15
-
[인문학] [밑줄쫙-역사] 역사 : 생물학의 한 조각2015-04-09
-
[인문학] 해방 후 3년 동안의 짧은 역사에 대한 소회2015-04-08
-
[인문학] [많이 나아진 문장 1] 함께읽기의 즐거움 : 신영복 교수의 경어체2015-04-07
-
[인문학] [밑줄쫙-문학] 기록하는 자 : 엄마의 가계부2015-04-06
-
[인문학] 김남일은 시인 신경림의 어린 시절 한 토막을 이렇게 아름다운 언어로 형상화했다.2015-04-06
-
[인문학] 앞에서 소개한 문장이 왜 안 좋은 문장인지 점점 깨닫기 시작하면서,저는 이런 문장을 쓰게 되었습니다. 뭔가 더 나아진 느낌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런 느낌을 받지 못하신다면, 제가 슬플 겁니다.2015-04-04
-
[인문학] 힘들겠지요. 잘 쓴 글을 보면서, 눈을 정화하세요. 그냥 두면 합병증 생깁니다.2015-04-04
-
[인문학] 뭔 소린지 저도 잘 모르겠네요. 지금 보면 어지러워질 뿐이에요. 문법구조가 틀리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복잡하게 써 보자고 작정한 문장 같네요. 우습네요.2015-04-04
-
[인문학] 왜 안 좋은 글인지 잘 설명해 줘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제가 지금 다시 이 테마로 글을 쓴다면? 죄송하지만, 이 테마로는 글을 쓰지 않을 겁니다. 제 능력을 넘어요.2015-04-04
-
[인문학] 한 15년 전에는, 제가 이런 글을 썼습니다. 지금 보니, 어떻게 이런 글을 썼는지 끔찍하네요. 여러분들은 이렇게 쓰면 안 됩니다. 안 좋은 글을 왜 올리냐고요? 유시민의 을 읽고 나니, 글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올렸습니다. 이렇게 쓰면 안 된다는!2015-04-03
-
[인문학] 베레비는 또 이렇게 말했죠. "인간은 서로 비슷한 사람들과 한패가 되는 게 아니라, 한패가 되고 나서 비슷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정곡을 찌르는 말 아닌가요?2015-04-01
-
[인문학] 가 보지도 들어 보지도 못한 교회 사진을 이렇게 올리며 갈릴레오의 참회성사를 여러분들께 소개할 수 있는 인터넷이라는 존재가 은혜라면 은혜겠다는 생각이 듭니다.2015-03-27
댓글목록1
아온님의 댓글
이 어마무시, 무지막지한 개념은 언제 형성되었을까요?
아마도 중세가 아닐까 합니다. 오컴이라는 까칠한 양반이 이것 저것 불필요한 가정들을 칼질하다보니 저렇게 된 모양인데...
그 이전까지 신의 개념은 모호하였습니다.
시대에 따라, 환경에 따라 그리고 필요따라 달랐지요.
이집트라는 고대의 선진국에서, 통치의 필요에 따라 만들어 낸 신이, 개념의 출발이 되었고,
이때 만들어진 신들이 그리스의 철부지 신들과 팔레스타인의 성질 더러운 야훼를 낳았지요.
그 이후로 떠드는 놈들마다 지멋대로 지껄였고...
이러니 신의 개념이 중구난방, 애매모호해진 것이지요.
그나마 예수라는 탁월한 선동가가 신의 개념을 정리해 주어 철학과 만날 수 있게된 것이 다행이라면 다행일까요?